닫기

소상공인들 “새벽배송 금지 생존 위협…손실보상 촉구”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8010004112

글자크기

닫기

오세은 기자

승인 : 2025. 11. 09. 08:00

소공연, 새벽배송 금지 논의 관련 입장 밝혀
1
소상공인들은 9일 새벽배송 금지 논의 관련해서 "최근 민주노총 등이 제기하고 나선 새벽배송 금지 주장에 대해 정부의 민생경제 회복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로 규정하고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이날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에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이 요구한 새벽배송 제한 요구가 현실화되면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를 막아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내수 부진으로 인한 역대급 위기 속에 온라인 판매로 활로를 모색하던 소상공인들에게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불안감을 넘어 생존의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소공연은 "한국로지스틱스학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새벽 배송과 주 7일 배송이 중단돼 택배 주문량이 약 40% 감소하면 소상공인 매출은 18조3000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며 "새벽배송 시장은 2015년 4000억원에서 2024년 11조8000억원 규모로 성장했으며 특히 소상공인들이 주로 유통하는 과일 등 빠른 배송이 필수적인 품목의 유통을 촉진시킨 것으로 분석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는 새벽배송으로 인해 소상공인들의 매출이 확대됐다는 방증으로 2023년 기준으로 새벽배송의 대명사격인 쿠팡의 입점 소상공인은 21만 명으로 거래액은 9조원에 달하며 전체 입점 판매자 중 소상공인 비중은 75%로 집계됐다"고 했다.

소공연은 "소상공인 셀러뿐만 아니라 새벽배송 이용 소상공인들도 새벽배송이 중단되면 손해가 막심해질 것"이라며 "소상공인들이 이제는 식재료를 새벽배송으로 받아 하루 장사를 준비하는데 새벽배송이 중단되면 새벽에 차를 몰고 식자재를 구매하러 가야 해 인력충원이 필요한 상황으로 내몰리게 된다"고 했다.

소공연은 "무리한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새벽배송으로 일상화된 소상공인 생태계와 나아가 한국 경제의 시스템을 일거에 붕괴시키겠다는 의도이며 노조가 상생이 아니라 어려운 민생경제에 재 뿌리겠다는 심산"이라며 "최근 주 4.5일제 도입 논의와 15시간 미만 근로자 주휴수당 의무화 방침, 5인미만 사업장 근로기준법 확대 적용 방침에 더해 최근의 정년 65세 연장 논의에 이르기까지 노동계만의 일방적인 주장을 정부가 수용하는 모양새가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소공연은 "만에 하나라도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와 관련된 국회의원들이 노조 측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수용해 새벽배송이 금지된다면 즉각적인 항의에 나서고 쿠팡을 비롯한 새벽배송 온라인 플랫폼 입점 소상공인들의 피해를 모아 손실보상 촉구에 나서겠다"고 했다.



오세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