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NN이 전국 성인 1206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이날 공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한 찬반을 묻는 질의에 61%가 반대, 39%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관세 다음으로 인기가 없는 분야는 외교 정책으로 58%가 반대, 42%가 찬성했다. 경제 정책 전반에 대한 평가도 반대 56%, 찬성 44%로 부정적 평가가 많았다. 가장 지지가 높은 분야는 이민 정책으로 51%가 찬성했고, 그다음이 연방정부 운영 48%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한 긍정은 45%, 부정은 54%로 조사됐다.
트럼프 관세 정책은 다른 조사에서도 부정적 평가가 많았다. 로이터 통신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가 미국 성인 14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약 70%는 관세 인상으로 식료품과 기타 일상 비용이 더 많이 들 것으로 예상했다. 민주당 지지자 중에서는 90%가, 공화당 지지자 중에서도 과반이 넘는 60%가 이같이 답했다.
응답자의 61%는 트럼프 대통령의 최우선 과제로 '물가 상승 억제'를 꼽았다. 또 응답자의 57%는 트럼프의 경제 정책이 '너무 변덕스럽다(erratic)'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장기적으로 봤을 때 성공할 것으로 예상하는 응답자는 41%(공화당원 79%, 민주당원 5%)였다.
로이터통신은 주요 교역국을 대상으로 한 관세 부과 조치가 금융 시장을 흔들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운영 방식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미할 마틴 아일랜드 총리와의 회담에서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에 "일관성이 없는 게 아니라 유연성(flexibility)"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