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취임 전망, 신규원전 계획 밀려
올해 부지 선정 불가능, 전기본 차질
|
9일 업계에 따르면 한수원은 황주호 전 사장의 사퇴로 공석인 차기 사장 공모를 위해 이르면 이달 하순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수원 사장 모집 공고 후에는 면접 심사 등을 거쳐 최종 후보자를 내고,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심의와 한수원 이사회 의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제청과 대통령의 최종 임명 절차를 거쳐야 한다. 임추위 구성 시점부터 임명 확정까지는 최소 2개월 이상이 소요될 전망이다.
새 한수원 사장의 취임이 내년 초에나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11차 전기본 상 신규 원전 건설 계획 역시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11차 전기본에는 대형 원전 2기를 각각 2037년과 2038년, 소형모듈원전(SMR) 1기를 2035∼2036년 도입한다는 계획이 담겨있다.
그러나 새 정부의 재생에너지 확대 기조와 맞물리면서 올해부터 시작됐어야할 부지 선정 단계 조차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지난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신규 원전 건설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김 장관은 국감에서 신규원전 건설이 그대로 진행되는 것이냐는 의원 질의에 "현재의 공식적인 국가 계획이 11차 전기본이기 때문에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 효력이 있는 한 진행이 맞다고 본다"며 "조만간 12차 전기본을 수립해야 하는데 11차에서 검토했던 것들을 참고해 합리적인 계획을 세울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다만 김 장관은 "국가의 행정 행위는 영속되기 때문에 결정은 11차 전기본에 따라 달려있고 정부의 기본 계획을 존중하는 것은 당연히 행정을 집행하는 사람의 책임"이라면서도 "11차 전기본 계획은 윤 정부 때 수립된 계획이고 현 정부는 재생에너지를 대폭 늘릴 계획인 만큼 12차 계획을 세우면서 원전 문제도 다시 한 번 들여다봐야 될 시기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원전업계 한 관계자는 "구글이나 메타 같은 기업들이 RE100 목표를 세워놓고도 원자력에너지에 사활을 걸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는 이들은 많지 않다"며 "재생에너지를 반도체 공장 라인에 공급해봤자 안정성 담보 없이는 쓸 수 없기 때문에 생산 전력이 아닌 부대 전력으로 밖에 활용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SMR은 안전성이 높고 부지 제약이 적어 데이터센터와 같은 시설에 맞춤형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해법"이라며 "해외에서는 이미 속도를 내고 있는데 우리는 제도 정비와 기술 검증이 늦다. 이 상태라면 미래 전력 수급의 핵심 기술을 외국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