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등 가능성에 수요 몰려
|
이른바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 영향으로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한강벨트 지역의 거래가 증가한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대출 규제 후 크게 늘었던 9억원 이하 저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다시 줄었다.
연합뉴스가 8일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시스템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총 5186건(공공기관 매수·계약 해제 건 제외)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21.1%(1070건)였다. 전월 비중(17.0%)에 비해 4%포인트 이상 증가한 수치다.
이 비중은 지난 6월 28.2%에서 7월 24.1%로 줄었고, 8월에도 17.0%로 크게 감소한 바 있다. 그러다 9월 들어 다시 20%를 넘긴 것이다.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추가 규제지역 지정 가능성이 커진 성동·마포구와 광진·동작구 등 비강남권 한강벨트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진 영향이다.
실제 성동구 금호동 'e편한세상 금호파크힐스' 전용면적 59.9㎡형은 지난달 말 역대 최고가인 20억5000만원에 계약됐다. 이는 직전 거래가인 지난달 초 19억원에 비해 1억5000만원 높은 금액이다.
마포구 아현동 '래미안푸르지오1단지' 전용 59.9㎡형도 지난달 말 21억5000만원에 신고가를 썼다.
9억∼15억원 이하 거래 비중도 6월 34.5%에서 7월에는 29.1%로 감소한 뒤 8월 32.2%에 이어 9월에는 36.3%로 늘었다.
중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커지면서 9억원 이하 중저가 비중은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지난 9월 기준 6·27 대출 규제 이후 가장 낮은 42.6%를 기록했다.
시장에선 추석 이후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 9·7 공급대책에서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50%에서 40%로 낮췄다. 아울러 국토부 장관도 공공사업이 없는 단일 행정구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 개정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