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현재 물가 폭등의 근본 원인은 민생쿠폰 등으로 돈을 뿌린 포퓰리즘 정책 때문"이라며 "이 정부는 더 이상 남 탓과 포퓰리즘식 돈뿌리기 정책을 멈추고, 서민의 밥상 물가를 실질적으로 안정시킬 근본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원내수석대변인은 "추석을 앞두고 장바구니 물가가 급등하고 있다. 국민들은 '장보기가 겁난다'고 호소힌다"며 "국가데이터처가 2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빵 6.5%, 커피 15.6%, 축산물 5.4%, 수산물 6.4% 등 서민 식탁 전반의 물가가 폭등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통계청에 따르면 쌀 20㎏ 가격은 6만 8435원으로 전년보다 29.2%나 상승했습니다. 4년 만에 80㎏ 한 가마값이 27만 원을 넘어섰다"며 "서울 시내 음식점의 공깃밥 가격은 2천 원을 훌쩍 넘었고, 일부는 3천 원까지 받는 곳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들은 밥 한 공기 추가도 부담스러워졌다"며 "이런 상황에서도 이 정부는 '장바구니 물가' 상승을 기업의 불공정거래 탓으로 돌린다"며 "조선시대 매점매석이 사형이었다는 말로 기업을 겁주기도 한다. 시장경제를 처벌로 통제하려는 발상이 바로 '사형경제학'"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전문가들조차 물가만 오르고 끝날 수 있다고 지적하지만, 정부는 현실 진단 대신 남 탓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최근 이재명 대통령은 바나나 수출 가격이 왜 나라마다 다르냐며 국제 가격 차이를 문제 삼았지만, 이는 시장경제의 기본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기초 상식조차 부정하는 대통령의 경제관에 국민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며 "국민이 원하는 것은 보여주기식 쿠폰이 아니라, 장바구니에서 체감할 수 있는 물가 안정"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