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 물꼬 터, 향후 협업방안 논의"
|
유리병, 종이팩 등 포장재를 비롯해 전지류, 전기·전자제품 등 제품 생산자나 수입자에게 사용 후 발생하는 폐기물의 회수 및 재활용 의무를 부과하는 제도인 한국의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K-EPR)가 세계로 나아갈지 주목된다.
임상준 한국환경공단 이사장은 유엔환경계획(UNEP) 산업경제국 쉴라 아가르왈 칸 산업경제국장과 회담을 갖고 글로벌 순환경제 촉진을 위해 양 기관이 공조해 나가기로 협의했다고 3일 밝혔다.
UNEP는 환경에 관한 유엔 활동을 조정하고 촉진하는 국제기구로 기후변화 대응, 생물 다양성 보전, 해양 및 육상 생태계 보호, 환경정책 개발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앞서 지난달 29일 이뤄진 회담에서 UNEP 쉴라 국장은 신흥경제국과 개발도상국의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핵심수단으로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확산을 강조했다.
UNEP은 지구환경기금(GEF)의 지원을 받아 신흥경제국과 개도국의 전자제품 순환경제 생태계 조성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유엔환경계획 쉴라 국장은 "전 세계 많은 신흥경제국이 한국의 순환경제 모델과 기술 도입을 희망하고 있다"며 "아울러 공단이 EPR 글로벌 액션 파트너십(GAP for EPR)'과 같은 국제적 순환경제 논의에 참여해 주도적 역할을 해주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임 이사장은 "공단이 글로벌 환경 아젠다를 주도하는 UNEP과 협력 물꼬를 트게 된 뜻깊은 만님"이라며 "공단은 앞으로도 K-ERP 제도와 기술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측은 세부 협업 방안에 대해 논의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