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공공기관 정책협의회' 개최
|
한 장관은 이날 서울 여의도에 있는 기술보증기금 서울지점에서 열린 11개 공공기관장과 정책과제 공유와 협력을 위한 정책협의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화재 이후 정부는 범부처적인 대응체계를 가동해 조속한 시스템 복구와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기부와 공공기관의 핵심 시스템은 신속히 복구됐고 정책자금 집행 관련 시스템도 정상 운영 중"이라며 "다만 추석을 앞둔 자금 수요 급증에 대비해 유동성 공급이 현장에서 매끄럽게 이어지도록 끝까지 챙겨주기 바란다"고 언급했다.
그는 "각 기관에서는 모든 주요 시설과 전산시스템 등을 점검하고 장애 예방 대책을 보완해 주기 바란다"며 "중기부는 국민안전과 보완 관련 사항 전반을 점검하고 산하 공공기관을 포함한 모든 정보화 시스템 전반에 대해 전수 조사를 실시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안전을 위해 추석 전 전통시장의 화재·시설 안전 점검도 겸해야 한다"며 "우리의 목적은 기업과 소상공인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행정서비스의 연속성을 지켜내는 것으로 각 기관장은 현장 중심의 조치를 실행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취임 후 정책 수혜자와 함께 설계하는 행정을 실현하기 위해 중소기업·소상공인·창업벤처 분야별로 많은 정책 현장 방문을 진행했다"며 "공공기관에서도 중소기업·소상공인이 체감할 수 있도록 빈틈없는 정책 이행과 함께 정책이 현장에서 성과로 이어지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정책 집행과 함께 환류 노력도 필요한데 이행 과정에서 파악된 문제점과 개선사항은 향후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중기부와 협력해야 한다"며 "매년 110만 개사의 중소기업·소상공인이 중기부 지원사업을 신청하는데 중기부와 공공기관 직원들의 1시간은 수요자의 110만 시간인데 공급 중심의 분절적 지원체계 운영으로 지원사업 신청 부담이 크다는 지적을 수용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금 할 수 있는 것부터 바로 바꿔 고객의 시간을 1분 1초라도 아껴야 한다"며 "지원사업 정보·신청 창구를 하나로 모으고 신청서류 부담을 줄이며 인공지능(AI)를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심사해야 하며 중기부 장관으로서 이 모든 과정을 점검하고 평가해 국민 체감도를 매일 올려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소비심리 위축에 대한 우려가 민생과 지역경제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는데 정부는 소비쿠폰, 상생페이백, 동행축제 등 소비 진작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며 "오는 29일부터 12일 간 대대적인 국가 할인축제를 진행하는데 각 기관에서는 자체 소비 촉진 행사를 비롯한 지역 연계 소비 활성화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소비 진작과 상권 활력 회복에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