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분뇨, 에너지 자원으로 전환"
|
김재경 농림축산식품부 축산환경자원과장은 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0간담회실에서 열린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탄소중립, 농업 분야 재생에너지에서 해법 찾는다' 포럼에서 "내년부터 저탄소 축산 혁신지구 신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과장은 "그동안 가축분뇨의 85%가 퇴액비로 활용돼 왔으나 계획 없이 농경지에 살포되는 경우가 많았다"며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요구가 커지면서 고체연료·바이오차 등 새로운 활용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돼지 분뇨를 활용한 바이오가스 공동자원화 시설이 현재 전국 10개소에서 운영 중이지만 고체연료화 논의는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 단계"라며 "올해 8월 환경부·산업부 등 관계 부처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가축분뇨 고체연료 활성화 공동기획단'을 발족했고 품질 기준·제도 개선·REC(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상향 등 다양한 과제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환경부 시행규칙에 고체연료 품질 기준이 명시돼 있으나 초기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분·발열량·중금속 규제 완화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내년부터 4년간 수백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품질 개선과 R&D 실증 연구를 본격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과장은 "내년 신규 사업으로 준비 중인 '저탄소 축산 혁신지구'는 지역별 가축분뇨 발생량과 살포 가능 농지 면적을 분석해 초과 물량은 에너지화로 전환하는 종합 계획을 세우는 것"이라며 "공동자원화 시설을 활용해 고체연료를 생산·보급하고 돼지 분뇨는 인분처럼 정기 수거하는 시범사업도 추진해 우수사례를 전국으로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은 가축분뇨 고체연료화가 걸음마 단계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에너지 자원화와 R&D를 연계해 축산업이 기피산업에서 재생에너지 산업의 동반자로 전환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