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분뇨, 온실가스 감축 '새 활로'
|
박재현 축산환경관리원 부장은 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제10간담회실에서 열린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탄소중립, 농업 분야 재생에너지에서 해법 찾는다' 포럼에서 "가축분뇨는 잘 활용하면 자원으로서 가치가 크지만 처리 여건이 악화되면 수질오염·악취 등 환경문제가 불거진다. 이에 따라 고체연료화가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번 포럼은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이 주최하고 아시아투데이가 주관했다.
박 부장은 "현재 연간 약 5900만톤의 가축분뇨가 발생하는데 2030년에는 최대 5600만톤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후와 계절적 요인으로 퇴비 살포 여건이 갈수록 제한되고 있어 새로운 활용 방안을 찾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가축분뇨 고체연료화는 기존 퇴비화보다 처리 기간을 평균 60일에서 3일로 줄일 수 있어 악취·수질오염 저감에 기여할 수 있고,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도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해외 사례도 소개했다. 박 부장은 "일본 가고시마 현은 계분을 하루 40톤 처리해 400㎾ 전력을, 네덜란드 메르다이크 발전소는 하루 1250톤을 처리해 36.5㎿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며 "국내도 이 같은 성과를 내기 위해 제도와 기술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가 추진 중인 고체연료화 실증사업과 규제 샌드박스가 제 역할을 하면 축산업은 환경오염 주범이 아닌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동반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