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정부조직법 통과 이후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 대응 긴급 간담회'에서 "원전의 운용과 수출 기능을 분리하는 것은 국제 신뢰를 허무는 일"이라며 "에너지 정책을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떼어 규제 부처인 환경부로 이식하는 유례 없는 시도는 우리 사회 경쟁력을 좀먹고, 에너지 안보를 뿌리째 흔드는 위험한 도박"이라고 밝혔다.
장 대표는 에스토니아의 재생에너지 100% 전환 사례를 거론하며 "불과 2년 전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신설한 에스토니아는 재생에너지 100% 목표를 내세웠지만, 에너지 안보와 기저 전원 부족에 부딪혀 1년도 안 돼 정책을 급히 수정했다"고 했다.
이어 "전기료 인상과 수출 감소는 이제 기본값이 됐다"며 "독일·영국도 이미 실패로 판명된 길을 이재명 정부가 고집스럽게 따라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송언석 원내대표는 "에너지 정책은 국가 생존과 직결된 전략 산업"이라며 "부처 혼선은 물론 전기요금 인상과 에너지 안보 불안정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조직 개편 과정에서 전문가 의견은 철저히 외면당했고, 산업계 우려 역시 묵살됐다"며 "정부조직 개편안이 누구를 위한 결정인지, 결과 책임을 누가 질 것인지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김은혜 원내정책수석부대표도 "규제와 진흥을 한 부처에 두는 것은 불과 얼음을 합친 것과 같다"며 "이번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이 바로 그 사례"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