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개 핵심 시스템 마비…대구센터 클라우드로 이전 추진
![]() |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이 29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행안부 / 그래픽 = 박종규 기자 |
윤호중 행정안전부(행안부) 장관이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서비스가 중단된 사태와 관련해 "국민 여러분께 큰 불편을 끼쳐 깊이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윤 장관은 29일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현재 46개 서비스가 정상화됐고, 매 시간 복구되는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며 "정부24와 우체국 금융 서비스 등 국민이 많이 이용하는 주요 서비스도 다시 가동됐다. 아직 복구되지 않은 시스템은 네이버·다음을 통해 즉시 공지하고 매시간 안내하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소된 7-1 전산실에 속한 96개 핵심 시스템의 경우 "즉각적인 재가동은 어렵다"며 "대구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최대한 신속히 대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시스템 완전 복구 전까지 업무 공백이 없도록 대체 수단을 확보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며 "주말이 지나면서 행정·민원 수요가 늘어날 수 있는 만큼 각 부처와 지자체가 함께 대책을 적극 논의하겠다"고 강조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아침 9시 기준 중단된 정부 서비스 647개 가운데 45개가 사용 가능한 상태다.
행안부는 대전 본부 2~4층 전산실의 항온항습기가 복구되면서 네트워크와 보안장비를 재가동하고, 이 층에 위치한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가동 중이다.
복구된 서비스에는 △우체국 금융 △모바일 신분증(신규·재발급은 제한) △디지털원패스 △전자문서 진본확인시스템 △행정전자서명인증 △국무조정실 국정관리시스템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부분 복구) 등이 포함됐다.
그러나 5층 전산실의 경우 전산장비 740대와 배터리 384대가 전소되면서, 온나라문서·정부24·국민신문고·복지로·나라장터 등 핵심 시스템 96개가 마비된 상태다. 정부는 최소 2주 이상 복구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화재로 주민등록 등·초본 발급, 생계급여 신청, 조달 입찰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행정서비스가 차질을 빚고 있다. 우체국 특급우편과 쇼핑몰, 일부 소포 서비스도 정상화까지 시일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부터 최우선적으로 복구하고 있다"며 "민관 협업을 통한 관리 체계 개편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