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눈물의 우먼파워 배달업계, 취업난과 경기부진 탓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24010013687

글자크기

닫기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승인 : 2025. 09. 24. 23:19

안타까운 현실 분명
극단적 상황이 이유
5년 새 5배 증가, 총 560만명
코로나19 이후 더욱 심해진 취업난과 경기 부진으로 인해 중국의 많은 여성들이 배달업계로 몰리고 있다. 그야말로 눈물의 우먼파워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해도 좋을 것 같다. 앞으로도 상황은 크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clip20250924231440
베이징 차오양(朝陽)구 주셴차오(酒仙橋) 도로를 질주하는 한 여성 라이더. 전국에 560만여 명이나 활동하고 있다./징지르바오.
여성들이 배달업계로 몰린다는 사실은 통계에서도 분명히 나타난다. 징지르바오(經濟日報)를 비롯한 매체들의 최근 보도를 종합하면 전국에서 활동하는 라이더 1400만여 명 중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24.3%에 달한다. 전국에 여성 라이더가 560만여 명에 이른다는 계산은 바로 나온다. 2020년 이전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 5% 미만과 비교하면 무려 5배나 늘었다.

이처럼 여성들이 배달업계로 대거 몰리는 것은 역시 전혀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취업난이 우선 결정타라고 해야 한다. 정말 그런지는 학생들을 제외한 25세 이하 청년들의 실업률이 20%를 향해 달려가는 최근 상황이 무엇보다 잘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경기 부진의 경우 생산, 소비, 투자 등의 트리플 지표가 좀체 개선되지 못하는 현실만 봐도 좋다.

여기에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하의 물가 하락)이 일상이 되려는 분위기까지 고려할 경우 여성들의 취업은 하늘의 별따기와 비슷해졌다고 해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아쉬우나마 배달업계에 투신, 경제 활동을 하는 것도 취업을 원하는 여성들이 차선책으로 고려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될 듯하다. 앞으로는 더욱 빠른 속도로 늘어날 가능성이 농후하다.

아무리 남녀평등의 시대라고는 하나 여성이 라이더가 되는 것은 정말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 차라리 취업을 포기하는 것이 현명한 판단일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반드시 취업을 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내몰려 있는 입장에서는 그건 말이 안 된다. 손가락만 빨고 있는 것은 삶을 포기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으니 말이다.

더구나 자녀 교육을 중시하는 기혼 여성들의 입장에서는 더욱 그렇다고 할 수 있다. 중학생 자녀를 두고 있는 베이징의 40대 여성 천리위안(陳麗媛) 씨가 "요즘 아이 교육비가 장난이 아니다. 당국에서 과외를 금지했기 때문에 돈이 안 든다고 생각할지 모르나 천만의 말씀이다. 오히려 과외가 합법적일 때보다 더 많은 돈이 든다"면서 자신이 라이더로 부업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분명 괜한 게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취업난과 경기 부진으로 중국 여성들이 '고난의 행군'을 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닌 듯하다.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