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뉴욕의 한 호텔에서 AI 산업 글로벌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뒤 래리 핑크 세계경제포럼(WEF) 의장 겸 블랙록 회장,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
이 대통령은 이날 래리 핑크 블랙록 회장 겸 세계경제포럼(WEF) 의장을 만나 AI, 에너지전환, 인구변화 등 인류가 직면한 3대 대전환 과제를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핑크 회장은 "세계 자본들을 연결해 한국을 아시아의 AI 수도로 만드는 것에 온 힘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도 "한국의 아시아·태평양 AI 수도 실현을 위해 협력할 수 있게 돼 환영한다"며 "(이번 협약이) 실질적인 협력성과로 이어지게끔 하자"고 화답했다.
이날 접견을 계기로 우리나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블랙록은 AI산업의 글로벌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협약에는 한국 내 '아·태 AI허브' 구축에 협력하고, 이를 위한 재생에너지 기반 AI 데이터센터를 한국에 두는 방안이 포함됐다. 블랙록이 대규모 프로젝트에 통상 수십조원을 투자해 온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 AI와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개발 사업에 비슷한 규모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하준경 대통령실 AI미래기획수석은 현지 브리핑에서 "세계 최대 규모 자산운용사에서 말하는 '대규모 투자'란 통상 수십조원 단위를 말한다"며 "가까운 시일 내 적어도 수조원 단위의 파일럿(시범) 투자가 일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필요한 반도체, 배터리, 통신, 보안, 냉각기술에 더해 재생에너지 발전과 저장장치, 송·배선망업체 등 많은 국내기업들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이다.
이에 앞서 정부는 향후 5년간 역점 추진할 123대 국정과제에 대통령 5년 연임제 개헌 등과 함께 'AI 3대 강국'을 포함시킨 바 있다. 이를 위해 5년간 100조원 규모의 민관 합동펀드를 조성해 AI 산업에 집중 투자하기로 했다. 배경훈 과기부 장관은 최근 "AI 분야에서 2023년 기준 미국과 약 1.3년의 기술격차를 2030년에는 0.5년 이내로 줄이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지금은 우리나라가 싱가포르, 영국, 프랑스 등과 3위권을 형성하고 있지만 AI 2강인 미국, 중국과는 기술 격차가 크다. 하지만 정부 주도로 AI 산업을 대대적으로 육성해 향후 5년 내 미·중을 따라잡겠다는 게 목표다.
이런 계획을 차질 없이 달성하려면 현재 미국에 비해 50분의 1 수준에 불과한 민간분야 AI투자를 늘리는 게 급선무다. 블랙록의 한국 투자가 민간 기업들의 AI 투자를 촉진하는 마중물 역할을 해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지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