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전날 인도네시아 교육감시네트워크(JPPI) 등 6개 비정부기구(NGO)들은 의회 보건위원회에 프라보워 대통령의 '무상급식' 프로그램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우바이드 마트라지 JPPI 대표는 "프로그램 시작 이후 전국적으로 6452명의 아동이 식중독 피해를 입었다"며 "이는 명백한, 총체적 실패"라고 규정했다. 인도네시아 전략개발 이니셔티브 센터(CISDI) 역시 "정부가 식중독이 발생한 급식 시설을 평가하거나 재발을 막을 어떠한 메커니즘도 갖추지 못했다"면서 무상급식 프로그램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무상급식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급식 메뉴 대부분이 건강에 해로운 '초가공식품'으로 채워져 있어 "영양가 있는 음식을 제공한다는 원래 목표를 변질시키고 비전염성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영양학적 문제도 제기됐다.
찰스 호노리스 보건위 부위원장은 해당 제안들을 "관계 기관에 전달하겠다"면서도 "이 프로그램은 전략적이며 계속 실행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중단 요구를 사실상 거부한 셈이다.
무상급식 프로그램과 관련된 논란이 확산하는 가운데 인도네시아 국방부가 22일 현지 최대 일간지 '콤파스'에 게재한 전면광고도 다시금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인도네시아 국방부가 "더 이상 단순한 군대가 아니다: 인도네시아식 인민 국방"이라는 제목으로 게재한 이 광고에는 군이 프라보워 대통령의 지시로 다양한 민간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국방부가 '군사적 접근법'으로 훈련시킨 수천 명의 젊은 졸업생들이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무상 급식을 제공하는 주방의 책임자로 일하고 있다"고 명시해 군이 급식 프로그램의 중요한 주체임을 스스로 인정했다.
퇴역 장성 출신인 프라보워 대통령이 집권한 이후 군의 역할이 비대해지는 것에 대한 우려는 계속 제기되어 왔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무상급식을 전담할 국가영양청을 설립했지만 식자재 선정과 유통 관리를 전적으로 군에 맡겼다. 포퓰리즘 논란을 넘어 군이 민간 영역과 업무를 겸직하며 행정을 장악하자 학생과 활동가들은 과거 32년간 인도네시아를 철권 통치했던 수하르토의 군부 독재, 이른바 '신질서' 시대로의 회귀가 아니냐며 깊은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마데 수프리아트 싱가포르 ISEAS-유소프 이삭 연구소의 마 방문연구원은 "더 많은 민간 활동을 군의 통제하에 두려는 것"이라며 "정부가 대중을 설득하려 하지만, 대중이 동의하든 안 하든 이미 그렇게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