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TSMC의 대만, 중국 산업 스파이 표적...일본 기업도 대만 반도체 기술 노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18010009874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9. 18. 08:34

닛케이 "대만, 첨단기술 등 영업비밀 누출 수사 건수, 31% 증가"
"국외 유출 시도 51건 중 48건 중국 본토"
"일본 반도체 장비업체 자회사 직원, TSMC 기술 유출 시도"
"첨단 반도체 기술 대만·한국 유출 피해"
TSMC
대만 북부 신주(新竹)과학공원 내 TSMC의 혁신박물관 내 스크린에 반도체 웨이퍼가 나타나 있는 사진으로 2023년 7월 5일 찍은 것./AFP·연합뉴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업체 TSMC가 있는 대만이 중국 등 산업 스파이의 표적이 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닛케이)이 18일 보도했다.

닛케이는 대만 법무부 조사국을 인용,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첨단기술 등 영업 비밀에 대한 대만 당국 수사 건수가 110건으로 그 이전 5년 2014~2018년(84건) 대비 31% 증가했다며 미국의 수출 규제 속에서 반도체 국산화를 서두르고 있는 중국 등의 표적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대만 검찰은 8월 27일 TSMC의 영업 비밀을 대만 영토 외부에서 부정하게 사용하는 등 국가안전법 위반 혐의로 전직 기술자 등 3명을 기소했다. 이 중 1명은 TSMC의 거래처이자 일본 반도체 제조장비 대기업인 도쿄(東京)일렉트론(TEL)의 자회사로 이직했던 직원이었다.

대만 고등검찰청 지식재산검찰분서에 따르면 해당 전 직원은 도쿄일렉트론 공급업체로서의 지위를 높이기 위해 TSMC 기술자에게 영업 비밀 제공을 의뢰, TSMC가 개발 중인 2나노미터(nm·1nm=10억분의 1m) 반도체용 에칭(동판화) 장비의 성능 개선이 활용하려고 했다. 이 전 직원은 혐의를 인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첨단기술 정보를 국외로 유출하려고 한 시도는 지역별 통계가 있는 2021년까지 51건으로 이 가운데 중국 본토가 48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미국의 규제 강화 속에서 반도체 국산화에 속도를 내고 있는 중국이 국가 차원에서 기술을 축적하려는 것이 대만에 대한 산업 스파이 활동의 배경이라고 닛케이는 분석했다.

대만의 인재 유출에 따른 기술 유출도 심각하다. 중국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SMIC(中芯國際·중신궈지) 창업자는 TSMC 기술팀을 이끌고 상하이(上海)에서 창업했다고 닛케이는 알렸다.

대만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닛케이에 "대만에서 승진 경쟁에 패한 기술자들이 지금도 우대 조건을 제시하는 중국 기업으로 옮기고 있다"고 말했다.

메모리 반도체 강국인 한국에서도 기술 유출이 다수 발생, 2019부터 2023년까지 산업 기술 유출 적발 건수가 96건으로 이 가운데 반도체 관련이 38건을 차지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닛케이는 "이전 국경을 넘는 기술 유출은 일본 기업에서 한국·대만·중국 기업으로 흘러가는 구도였지만, 지금은 첨단 반도체 기술을 축적한 대만·한국이 빼앗기는 입장이 됐다"고 분석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