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일주일 뒤 전공의 돌아오지만”…갈길 먼 의료 정상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4010011599

글자크기

닫기

서병주 기자

승인 : 2025. 08. 24. 15:28

지역·필수과 기피에 해소 '불투명'
지방 충원률 50%, 절반 못 넘기도
PA 업무충돌 우려, 대전협 대화 방침
2025072101002050600122541
서울 시내의 한 대학병원에서 이동하는 의료진./연합
하반기 전공의 수련 재개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의료 정상화를 위한 과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아 현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복귀를 택한 전공의 대다수가 지역 의료기관과 필수의료 과목을 외면한데다 의료 현장을 지켜온 진료지원(PA) 간호사와의 충돌이 우려되면서다.

24일 의료계에 따르면 복귀를 택한 전공의들의 발길이 수도권 병원에 쏠리며 1년 6개월 이상 지속됐던 의료공백 해소에 실질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수도권 '빅5(삼성서울병원·가톨릭중앙의료원·서울아산병원·서울대병원·세브란스병원)' 병원의 경우 70~80% 수준의 지원율을 기록했지만, 이들 병원과 함께 모집 공고를 낸 지역병원 대부분은 50%에 그쳤다.

나란히 63%의 지원율을 기록한 전남대병원과 전북대병원, 합산 지원율이 76%인 조선대병원 등을 제외한 지역병원의 지원율은 50%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대구가톨릭대병원의 경우, 48.8%로 모집 정원 절반 이하의 지원율을 기록했다. 이에 한림대학교의료원이 모집기간을 연장한데 이어 다른 병원들도 공고 연장을 검토하는 등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이번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서 이 같은 편차가 확인되며 지역 간 의료격차가 더욱 심화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전국에서 수련 중인 전공의 2532명 중 67.4%인 1707명은 수도권 병원에, 나머지 32.6%는 비수도권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전공의 복귀에 따른 의료공백 해소에 대한 기대감은 수도권에만 그치고 있다"며 "정부에서 지역의사제나 공공의대 등의 대안을 내놓고는 있지만, 당장의 효과를 기대하긴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내·외과나 산부인과 등 필수의료 분야를 선택한 전공의들도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며 인력이 시급한 과목에서의 충원도 사실상 기대하기 힘들다는 관측이다.

전공의가 의료 현장을 떠난 뒤 그 공백을 메워 온 PA 간호사의 처우 문제 역시 해결과제로 꼽히고 있다. 간호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2월 의정갈등 이후 전담간호사 수가 61.8% 늘어났으며 처방과 시술, 수술동의서 작성 등 PA 업무를 수행해왔다.

전공의의 복귀가 다가오는 와중에도 정부가 PA 간호사의 업무범위를 규정짓지 못하면서 충돌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전공의 측은 PA와의 소통으로 복귀 이후 일어날 충돌 가능성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최근 복지부에 수련 재개 전 업무분장을 논의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 구성을 요구한 바 있다.
서병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