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계파갈등·당대표 퇴출
대선후보교체·총선참패 등 사과
|
혁신위는 이날 오후 국민의힘 당사에서 회의를 끝낸 뒤 기자들과 만나 "내분으로 날을 새며 비전 마련과 정책역량 축적을 게을리하고, 절대 다수 정당의 횡포와 폭주에 무력했던 것과 특히 당 소속 대통령 부부의 전횡을 바로잡지 못하고 비상계엄에 이르게 된 것에 책임을 깊이 통감하며, 대통령 탄핵에 직면해서는 국민눈높이에 맞는 판단을 하지 못한 것을 깊이 반성하고 사죄드린다"고 이같이 밝혔다.
이어 "당의 주인이 당원임을 망각하고 특정 계파, 특정인 중심으로 당을 운영한 것을 반성하고 사죄드린다"며 "당대표(이준석·한동훈)를 강제퇴출시키고, 특정인의 당대표 도전을 막기 위해 연판장을 돌리고, 당대표 선출규정을 급변시켜 국민참여를 배제하고, 대선후보(김문수) 강제 단일화를 시도하는 등 국민과 당원께 절망감과 분노를 안겨드린 것을 반성하고 사죄드린다"고 말했다.
또 "2024년 4월 총선에 참패하고도 당을 쇄신하지 못하고 또다시 분열로 국민과 당원을 실망시켜 드린 것을 반성하고 사죄드린다"고 했다.
그러면서 '새출발을 위한 약속'이라며 "국민의힘은 신뢰받는 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해 혁신의 혁신을 계속하겠다.국민의힘의 주인은 당원이다. 당원과 국민의 목소리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현장중심정당이 될 것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특히 "사익추구와 우리편 감싸기 정치문화에서 탈피하여 나라와 국민을 위한 희생과 헌신, 추상같은 자정능력을 회복하겠다"며 "시대를 선도하는 민생정책 역량을 강화하는 데 당력을 집중하겠다"고 약속했다.
혁신위는 "이상 4가지는 선출직인 당직자와 공직자의 취임선서에 반영하고, 만약 이에 역행하는 일이 발생했을 경우 당원소환제를 적극 가동해 바로잡겠다"며 "공천은 상향식으로 전환하며, 특히 내려꽂기의 영역이었던 비례대표는 당원투표를 통한 상향식으로 전환하고 당세가 약한 취약지역을 적극 배려해 명실상부한 전국정당을 구현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국민의힘이 국민을 위해 일하는 정당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기회와 용기를 주실 것을 간곡하게 호소드린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 위원장은 "잘못된 과거와의 단절을 위해서는 잘못된 과거가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명시하고 단절하고 어떻게 가겠다는 것을 확실하게 말씀드려야 하는데 그걸 가장 분명하게 하는 방법은 당헌·당규에 잘못된 과거가 무엇이고 그걸 어떻게 단절하겠다는 내용을 전당원 투표를 통해 새겨넣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혁신 안건에 대해서는 지도부가 수용했다"며 "(투표 일정은) 잠정적으로 11~13일 당원들에게 알리고, 14~15일 투표로 올릴 생각을 하고 있다"고 했다. 8월 중순으로 예상되는 전당대회가 개최되기 전에 마무리 하는 것을 목표로 후반부에 한 번 더 진행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