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기도·고양시·한전·LS일렉트릭, 국내 최초 공유형 ESS 실증사업 착수...전력망 안정성↑·전기요금↓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8010004120

글자크기

닫기

의정부 진현탁 기자

승인 : 2025. 07. 08. 07:15

5MWh 규모 2년간 추진, 전력계통 안정화와 에너지 신사업 모델 구축 목표
경기도청사 전경
경기도청사 전경./경기도
경기도는 고양특례시, 한국전력공사, LS일렉트릭과 국내 최초로 '공유형 에너지저장장치(ESS) 실증사업'을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전력이 과잉 생산되는 시간대에 저장하고 수요가 급증할 때는 저장된 전력을 방출하는 등 전력망 안정성를 높이고 전기요금도 절감하는 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이들 4개 기관은 8일 오후 3시 고양어울림누리에서 '공유형 ESS 실증사업' 업무협약식을 체결할 예정이다. 전력 계통 안정화와 에너지 신사업모델 구축을 위한 협력체계를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구체적 내용을 보면 우선 설치가 확정된 고양시 공공기관인 고양어울림누리와 전력수요가 많은 민간 사업지를 선정해 연말까지 ESS를 설치하고 내년부터 현장 실증을 시작한다. 이를 통해 심야 등 전기 수요가 적고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전기를 저장한다. 저장된 에너지는 여름철 한낮 등 전력수요가 높은 시간대에 주변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에 제공된다.

ESS 규모는 총 5MWh(배터리 용량 기준)로 2년간(2025~2026년) 추진된다.

사업비는 △경기도와 고양시가 부담하는 '스마트 ESS·EMS(에너지관리시스템) 설치 지원사업' 5억원 △국비·지방비·민간자본이 함께 투입되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미래 지역에너지 생태계 활성화 사업' 27억원 등 총 32억원에 이른다.

다수의 에너지 수용자가 공동으로 참여하고 그 인센티브를 공유하는 공유형 ESS 구조는 경제성과 확장성을 모두 갖춘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도는 이런 공유형 ESS가 정전 등을 예방하며 전력망의 안정성을 높이고 전기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 에너지를 저장해 전기요금 절감 효과도 유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경기북부 대개조 프로젝트의 핵심 거점인 고양시에서 실증이 시작돼 상징성도 크다.

공공기관은 '공공기관 에너지이용 합리화 추진에 관한 규정'에 따라 계약전력이 일정 규모 이상이면 ESS 설치 의무가 있다. 이번 공동 설치로 일부 기관은 별도 장비 구축 없이 실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 예산 절감 효과도 따른다.

도는 이번 사업이 전력시스템 전환의 선도적 시도로서 공공이 선도하고 민간이 확산하는 민관협력의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진현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