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상반기 재난 대응 안전한국훈련은 풍수해·지진 등 자연 재난을 중심으로 훈련한다. 현장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양수기·수중펌프 등 장비를 실제 가동하고, 전문가와 함께 현장의 위험요소를 발굴해 훈련 시나리오에 반영했다. 지역주민이 대피 및 응급복구 훈련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어린이나 노인과 같은 취약계층 보호조치도 점검한다.
행정안전부는 최근 3년간 자연 재난으로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됐던 서울 관악구, 경기 파주, 전북 익산 등 58개 지역은 풍수해 훈련을 의무적으로 실시키로 했다. 다만 최근 산불 피해가 발생한 경북 안동시, 의성군, 울산 울주군 등은 피해복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훈련을 취소·연기키로 했다.
각 기관별로 산림청은 충남도, 금산군과 함께 산사태 재난에 대비해, 산사태 예보발령에 따른 주민 대피훈련과 국민행동요령 교육을 진행한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과 함께 지진으로 인한 댐 붕괴 상황 대비 훈련을 실시한다. 하류 지역 주민 대피훈련과 함께, 드론과 원격조정무인잠수정(ROV)을 활용해 피해 점검 및 긴급복구를 진행한다. 한국도로공사는 집중호우로 도로비탈면이 유실되면서 차량 매몰, 연쇄추돌 및 기름유출로 이어지는 복합 재난상황 대비 훈련을 실시한다. 한국석유공사는 전남도, 곡성군과 함께 낙뢰로 인해 석유비축기지 지상탱크에 화재 발생·확산 상황을 가정해, 주민대피와 관계기관 협업체계를 점검한다.
행안부는 민간 전문가 125명으로 구성된 평가단이 참여해 기관별 훈련 과정에 대한 컨설팅과 평가를 실시할 계획이다.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개선 필요 사항은 재난 대응체계에 반영하고, 우수사례는 관계기관에 공유할 계획이다.
오병권 행안부 자연재난실장은 "지난달 광주 남구 소재 아동병원에서 인명피해 없이 99명 전원이 화재에서 대피할 수 있었던 것은 평소 교육과 훈련을 통한 발빠른 대응 덕분"이라면서 "재난 발생을 가정해 대응하는 훈련이 위급 상황에서 자신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최선의 대비책인 만큼, 이번 훈련에 국민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