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두 번접는 폰·AI데이터센터… 세계 산업계 주도 기술 빼곡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9010011693

글자크기

닫기

경주 이지선 기자 | 경주 한대의 기자

승인 : 2025. 10. 28. 18:02

'K-테크 쇼케이스' AI 기술 총집결
최태원, 메타·현대차·LG 부스 방문
삼성 트라이폴드폰·HBM4 반도체 등
첨단기술 현장 1700명 몰려 열기 고조
28일 경북 경주 엑스포공원 에어돔에서 열린 'K-테크 쇼케이스'에서 삼성전자의 두 번 접는 스마트폰 '트라이폴드폰'이 최초 공개됐다(왼쪽부터 시계방향 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최첨단 기술을 적용한 고대역폭메모리 HBM4를 각자의 부스에 전시했다. SK그룹은 입구에 '클라우드'를 상징하는 구름 조형물과 함께 AI 데이터센터를 연상케 하는 부스를 꾸렸다. LG전자가 세계 최초 무선·투명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T' 28대로 구성한 초대형 샹들리에. /이지선 기자, 연합, 제공=LG전자
경주에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를 호령하는 기업들의 핵심 기술이 집결했다. 1700여명이 찾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최고경영자회의(APEC CEO Summit·이하 APEC CEO서밋)에서다. 두 번 접는 스마트폰과 AI데이터센터를 꾸리는 첨단 기술 및 반도체, 미래 모빌리티와 대규모 디스플레이 등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었다.

28일 경주 보문단지 내 엑스포대공원에 마련된 K-테크 쇼케이스 현장은 삼성전자, SK, 현대차, LG전자, 메타 등이 각사의 기술을 소개하기 위해 빼곡히 들어차 있었다. 좁은 공간이지만 우리나라를 넘어 세계 산업계를 주도하는 여러 기술들이 관객들을 반겼다. 이날 오후 1시경 방문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맷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와 함께 SK부스를 시작으로 삼성전자, 메타, 현대차, LG전자 부스를 돌며 기술을 직접 살피기도 했다.

최 회장은 인이어로 부스별 설명도 청취하는 한편 직접 전시 제품에 대해 묻기도 했다. 쇼케이스를 둘러본 직후 최 회장은 '퓨처테크포럼: AI'에서도 대한민국의 AI 산업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행사 종료 후 최 회장은 기자들과 만나 "APEC은 우리에게 좋은 기회로, 대한민국을 알릴 수 있고 국가 간 새 교류와 협력을 모색하는 한편 정부와 기업이 새 협력 기회와 투자, 지원에 대해서도 얘기 나눌수 있는 기회"라며 "우리가 주최자 역할인 만큼 다양한 곳과 접촉할 기회가 있는 만큼 최대한 성과를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빅테크 기업뿐만 아니라 SK 입장에서 또 다른 고객인 에너지, 다른 통신사, 바이오회사 등과도 많은 얘기를 나눠서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게 제 역할"이라며 "의장으로서는 가능한한 많은 기업들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SK그룹은 SK하이닉스, SK텔레콤, SKC, SK엔무브 등의 AI 역량을 한데 모은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선보였다. 부스 입구에는 '클라우드'를 상징하는 구름 조형물이 걸려있다. 먼저 AI데이터센터를 모티브로 꾸민 부스에는 서버 액침 냉각 기술과 반도체 제조 소재인 글라스기판 등 다양한 기술력을 한데 모았다.

삼성전자는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과 함께 행사 전부터 화제를 모으던 '두 번 접는 폰'을 선보였다. 현재 접히는 갤럭시 폴드에서 한번 더 접히는 폼팩터로, 상용화된 제품은 아니지만 실물을 전시하면서 관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SK와 삼성전자는 오픈 AI와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협력을 추진하고 있기도 하다. 프로젝트의 핵심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제품도 눈길을 끌었다. SK하이닉스는 16단 HBM4 실물을 내세웠고, 삼성전자 또한 벽면에 HBM4 제품을 걸어 전시했다. 이 외에도 LG전자는 대규모 디스플레이로 만든 샹들리에를 전시해 시선을 끌었고, 현대차 또한 미래형 목적기반형 모빌리티(PBV)나 로봇 등을 중심으로 전시를 꾸몄다. K테크 쇼케이스 현장 외에도 GS칼텍스는 전시장을 별도로 마련해 미래 에너지 기술 전시를 준비중 이다. 현재 경주 예술의전당 내에서 부스 설치 작업을 마무리했고, 보안점검 등을 거쳐 관객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전시 공간은 대형 LED스크린과 파사드가 결합된 미래형 디자인으로 꾸며져 미래 에너지 청사진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지선 기자
한대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