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불날까 무서워서”…에너지 공공기관도 안 쓰는 ESS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2010008138

글자크기

닫기

정순영 기자

승인 : 2025. 10. 22. 12:47

전기안전공사·한전·전력거래소·동서발전
화재 위험에 ESS 설치하고도 미운영
공공기관 의무설치에도 64.6% 미이행
“정부·공공기관 먼저 ESS 안전성 입증해야”
[SK가스 보도이미지] 미국 ESS 설비
미국 ESS 설비 자료사진./SK가스
전국 공공기관들이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를 의무적으로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동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2일 한국전기안전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전기안전공사는 전북 전주 본사 부지에 250키로와트(kW) 규모의 ESS를 설치했지만 화재 위험 등을 이유로 현재까지 사용하지 않고 있다. ESS 안전관리의 총괄기관이자 검사·기준제정 권한을 가진 기관이 스스로 ESS 운영을 꺼리는 모순된 상황이다.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한국동서발전 등 주요 에너지 공공기관들 역시 설치한 ESS를 장기간 미가동 상태로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ESS 화재는 2018년 16건, 2019년 11건 등 초기에 집중적으로 발생했지만, 이후 정부와 업계의 안전대책이 강화되면서 2020년 2건, 2021년 2건, 2024년 5건, 2025년 8월 기준 6건으로 급감했다. 그러나 초기 사고에 대한 여파로, ESS를 '잠재적 위험시설'로 보는 인식이 남아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공공부문이 ESS 확산을 선도하도록 2021년부터 계약전력 2000kW 이상 공공건물에 대해 계약전력의 5% 이상 의무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2024년 기준으로 의무 대상 308개 기관 중 109개만 설치를 완료했고, 199개 기관(64.6%)은 아직 이행하지 않았다. 제도 시행 4년째에도 공공부문 ESS 설치율이 40%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ESS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분산형 전원체계 구축의 핵심 인프라임에도 불구하고, 공공기관이 스스로 사용을 꺼리면 민간 확산도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안전을 관리하고 국민 신뢰를 확보해야 할 기관들이 오히려 운영을 중단한 채 불안감을 확산시키는 것은 정책 일관성에도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박 의원은 "ESS 화재는 기술개선으로 크게 줄었지만 안전관리기관조차 ESS를 켜지 못하는 현실에서 재생에너지 확대는 요원하다"며 "정부와 공공기관이 먼저 ESS 안전성과 신뢰를 입증해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공공부문이 선도적으로 ESS 확산을 이끌어야 한다"고 밝혔다.
정순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