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정은 15일 오전 국회에서 '추석 민생안정대책 당정협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번 추석을 계기로 내수 경기가 더 살아날 수 있도록 농축산물 중심으로 물가 관리에 힘쓰겠다는 계획이다.
성수품 물가안정을 위해 주요 성수품인 사과·배를 평소 대비 3배, 감은 4배, 배추는 18배 이상 확대 공급키로 했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인 17만2000톤에 달한다. 쌀값 안정을 위해 정부는 양곡 2만5000톤을 추가 공급하고 취약계층에 한해 정부양곡을 20% 추가 할인해 제공키로 했다. 이는 10kg당 8000원에 공급된다.
더불어 추석 성수품에 대해 '바가지요금' 등 불공정 행위가 우려되는 것에 대해선 행정안전부 중심으로 엄중 단속할 방침이다. 체불임금 청산을 지원하기 위해 당정은 융자금리를 한시적으로 인하하며 체불우려 사업장을 집중 점검한다.
민족 대이동이 이뤄지는 추석 귀성·귀경길인 내달 4~7일엔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 KTX·SRT 이용요금의 30~40%를 할인한다. 또 특별재난지역에 대해 숙박쿠폰 15만장 발행, 여행상품을 최대 50% 할인하는 등 여행가는 가을 캠페인도 16일부터 진행한다.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추석 명절에 필요한 주요 성수품에 대해 가격 상승이 체감되지 못할 정도로 과감한 공급 확대가 필요해 보인다. 전통시장·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한 대책마련도 필요하다"며 "물가가 1% 후반~2% 초반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다행이지만 국민먹거리인 주요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세가 우려된다.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추석 성수품 중심으로 역대 최대 공급확대, 할인지원, 할당관세 등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총동원하겠다. 서민·소상공인 금융지원 확대, 생활비 경감, 체불임금 청산 지원 등 민생부담 완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농축산물 15대 성수품 공급량을 대폭 확대하고 할인 지원사업에 역대 최대 규모인 500억원을 투입해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완화하겠다"며 "생산자·유통·식품업계 등과도 긴밀 협력해 정부 지원 대상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체 할인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도 "서민·취약·청년층 대상으로 추석 전후 1145억원의 정책 서민금융을 지원하겠다. 소상공인·중소기업 명절 유동성 지원을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43조2000억원의 신규자금을 공급하겠다"며 "취약계층을 위해 4분기 중 장기연체 채권의 일괄 매입을 개시하겠다. 상환 능력에 따라 소각하거나 과감한 세무조정을 추진하고 저소득층 원금 감면을 90%로 상향하는 등 재기지원을 강화 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