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출력제어 부담 늘어나는 원전…1년 만에 3배 증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20010009783

글자크기

닫기

배석원 기자

승인 : 2025. 08. 20. 17:29

올 상반기 국내 원전 출력제어 25회 발생
몇분 단위부터 길게는 이틀 이상 제한 지속
"출력제어 잦아지면 원전 설비 부담 늘어"
신한울 12호기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신한울 1·2호기 전경/ 한국수력원자력
국내 원자력 발전소의 출력제어 횟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력제어는 전력 공급이 수요 대비 높아져 특정 지역의 전압이 불안정해지거나 화재 등 대형 재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해 전력거래소가 한국전력과 한국수력원자력, 신재생에너지 사업자 등에 내리는 조치다. 전문가들은 원전 설비의 출력제어 빈도가 증가하는 것과 관련해 앞으로 더 잦아지면 원전의 경제성 저하는 물론 설비에도 이상이 생길 수 있다며 우려를 나타낸다.

20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국내 원전의 출력제어 횟수는 25회로, 제어된 전기량은 1만8434메가와트(㎿)에 달했다. 출력제어를 시행한 원전은 한빛·한울·월성·새울·고리·신고리 등 거의 모든 호기가 포함됐다. 몇분 단위부터 길게는 이틀 이상 지속된 곳도 있다. 주로 토요일과 일요일에 집중됐는데, 올 상반기 수치상 주말에 내려진 출력제어 횟수는 18회다.

문제는 이 같은 원전의 출력제어가 최근 들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2020년에는 새울 1·2호기에서 5월 3일과 9월 30일 두 차례가 전부였다. 제어 전기량은 1200㎿수준이다. 이후 △2021년 3회(1241㎿) △2022년 4회(4344㎿) △2023년 7회(5100㎿) △2024년 7회(3203㎿)의 출력제한 조치가 이뤄졌다.

전력거래소의 출력제어 시행 원칙은 제어가 쉽고 연료비가 높은 유연성 전원(석탄·LNG)부터 경직성 전원(원전·신재생) 순으로 설정돼 있다. 500㎾ 이상의 비중앙 발전설비도 대상에 포함된다.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원전 감발(출력을 줄이는 조치)이 불가피한 경우 필요한 감발량 산정 후 안정성을 고려해 한수원과 협의해 감발 가능 호기를 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출력제어 통제가 내려지면 해당 사업자는 의무적으로 조치에 따라야 한다.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건 안정성이다. 노동석 서울대원자력정책센터 연구위원은 "원전 출력제어는 제어봉을 통해 조절하거나 붕산수를 활용해 출력을 줄이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면서 "원전의 출력제어가 잦아질 경우 붕산수를 넣었다 빼는 작업도 반복되고 이에 따른 출력 변동이 잦아지면 연료봉을 감싸고 있는 피복제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등 원전 안전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배석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