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주 찍고 원산行?… ‘노벨상’ 노리는 트럼프, 10월 빅딜 가능성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804010000940

글자크기

닫기

최민준 기자 | 김홍찬 기자

승인 : 2025. 08. 03. 17:33

남북 분단 80년, 대변환 맞은 한반도

트럼프, 연일 北과 대화 의지 피력

세계 곳곳 전쟁·무력충돌 등 개입

평화 이미지 위해선 北 도움 필요

김정은 APEC 정상회의 초청 주목

참석 안 해도 깜짝 방북 가능성 ↑

국경 '판문점'·관광지 '원산' 후보

美의 '선물' 크기가 北의 태도 좌우

남북 정상회담 개최 여부는 미지수

정부, 대북 민간지침 허용 등 주목

'노벨평화상'을 노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외화벌이'에 목을 매고 있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만남이 성사될지 주목된다. 오는 10월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북미 회담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김정은 만나면 노벨평화상?… 北으로 향하는 트럼프의 시선

미국이 연일 북한과 대화 의지를 피력하는 가운데 중동 사태와 관세 협상의 첫 페이지가 마무리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본격적으로 북한에 손을 내밀 가능성이 점쳐진다.

노벨평화상에 대한 욕심을 드러내 온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전쟁, 무력충돌, 분단 상황 등에 개입해 '힘의 논리'를 여지없이 발휘하고 있다. 세계 각국도 이를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아첨 카드'로 활용하고 있다. 순짠톨 캄보디아 부총리,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자국 전쟁 중재를 이유로 일제히 트럼프를 노벨평화상 후보에 추천했다.

북한 문제는 트럼프의 평화 이미지를 각인시킬 '키'로 작용할 전망이다. 북한 전문 연구기관의 한 관계자는 "트럼프가 원하는 노벨평화상은 중동 분쟁과 해결되지 않은 우크라이나 문제만을 갖고는 부족하다. 북한의 협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깜짝 방북 가능성… APEC, 북미 정상회담으로 이어질까

다가오는 APEC 정상회의가 북미 '빅딜' 무대로 활용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0월 31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APEC에는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21개 회원국 정상이 총집결할 전망이다.

관심사는 김 위원장의 참가 여부다. 이재명 정부는 비회원국인 북한 초청에 대한 공식 입장을 아직 내놓지 않고 있으나 "한반도 평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는 자리가 돼야 한다"며 APEC 회의 활용 계획을 암시한 상황이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도 지난달 14일 인사청문회에서 김 위원장의 초청을 묻는 질문에 "그런 국면이 된다면 얼마나 좋겠느냐"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김 위원장의 참석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엇갈린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은 APEC 회의에 다자대화의 일부로 참석하는 걸 권위 훼손으로 인식한다"고 관측했다.

따라서 트럼프 대통령이 APEC 회의를 '깜짝' 방북의 계기로 삼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대형 대북 이벤트라는 점에서 2019년 6월 판문점 회담처럼 세계적 관심을 집중시키는 계기로 활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에도 한미 정상회담을 위해 서울을 방문했다가 판문점 회담을 기습적으로 성사시켰다.

북미 회담이 성사된다면 유력 후보지는 원산과 판문점이다. 두 지역 모두 현재 북한의 행보를 상징하는 곳이다. 원산은 북한의 역점 사업 '원산갈마관광해안지구(갈마관광지구)'가 조성된 곳이다. 해수욕장과 워터파크를 중심으로 최대 2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숙박시설을 갖춘 복합 관광단지로, 지난달 1일 개장했다. 관광 위주 경제 개발을 추진하겠다는 북한의 새로운 계획을 상징하는 야심작이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북한 해안가 개발에 많은 관심을 드러내 왔다. 그는 2기 취임 첫날인 지난 1월 20일에도 김 위원장과의 관계를 설명하던 중 "난 그가 해안가에 엄청난 콘도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과거 수차례 북한의 해변과 콘도·호텔 건설 등을 언급하기도 했다.

판문점은 북한 정권의 '적대적 두 국가론'과 직결된다. 북한은 이에 따라 남북 군사분계선을 '국경선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군사분계선의 중심인 판문점에서 적국인 미국 정상과의 회담을 개최해 국경선 개념을 대외적으로 고착시키는 의도로 사용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국이 준비한 '선물'의 크기가 북한의 '태도'를 결정할 전망이다. 북한은 2019년 회담 수준, 혹은 그 이상의 조건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조건부 제재 완화 △인프라 개발 등 경제 지원 △북미 관계 정상화 등을 제시했다.

남북 정상회담 개최 여부는 미지수다. 북한은 적대적 두 국가론을 통해 남한과의 관계를 사실상 단절한 상태다. 남한을 거치지 않고 미국과 직접 소통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국가정보원(국정원)의 대북 방송이 40년 만에 중단되는 등 정부의 대북 유화 정책이 이어지고 있지만, 북한은 최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대남 담화를 통해 "아무리 동족흉내를 피우며 온갖 정의로운 일을 다하는 것처럼 수선을 떨어도 한국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변화가 있을 수 없다"고 말하는 등 적대 기조를 강화하고 있다.

관건은 '경제 접촉'이다. 북한이 관광지를 개방해 외화를 벌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만큼 이를 협상 카드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정동영 장관은 '북한주민 접촉신고 처리 지침' 폐기안에 결재했다. 대북 민간 접촉을 허용한 것이다. 안찬일 세계북한연구센터 이사장은 "북한 갈마관광단지 운영을 위한 대북 제재 완화와 주한미군 축소 등을 원할 것으로 보인다"며 "북미 정상회담, 그리고 이재명 정부와의 협상이 잘 이뤄진다면 북한은 외화벌이에 남한을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민준 기자
김홍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