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반도체·농산물도 타깃… “美관세 최악상황 대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15010008030

글자크기

닫기

김유라 기자

승인 : 2025. 07. 14. 18:10

여한구 "예단 어렵다"…이달 재방미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미 통상협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한미 관세협상 시한을 3주 앞두고 "최악의 상황도 대비해야 하는 초유의 불확실성에 직면했다"고 전했다. 여 본부장의 이 같은 발언은 미국이 지난 주말에도 협상 합의에 근접한 것으로 알려졌던 EU와 멕시코에 돌연 상호관세 30%를 부과하는 등의 돌발 조치를 이어가는 데 따랐다.

14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난 여 본부장은 "협상 결과를 예단하기 상당히 어렵다"면서 "상호관세 유예기간이 불과 20여 일 남은 만큼, 실질적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 협상안을 들고 가겠다고 밝혔다. 여 본부장은 이달 중 미국을 재방문할 예정이다.

여 본부장은 "미국이 반도체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면서 "한미가 현재 관세뿐 아니라 미래 관세도 협상 테이블에 놓고 논의해야 한다"고 했다. 최근 미국 상무부가 반도체 조사에 나서면서 품목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도 제기된 상태다.

여 본부장은 "농산물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어느 국가의 무역협상을 들여다봐도 고통스럽지 않은 경우가 없다"면서 "그러나 그 이후 산업경쟁력이 강화된 사례를 고려해 전략적으로 판단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미국이 관심을 기울이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대해선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경제성이 있을 것이라 보지만 상업성을 판단할 자료가 더 필요하다"면서 "지금 상태에서 법적으로 구속되는 약속을 하긴 어렵다는 점을 미국도 잘 인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새 정부는 한 달 남짓 짧은 시간 내 미국 시장 파트너들과 실질적 논의를 진전시켰고 현재는 협상을 가속화하는 단계라고 자평한다"며 "본 게임은 이제부터 시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유라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