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속도보다 국익”… 韓美 관세협상 ‘운명의 3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09010004835

글자크기

닫기

이충재 기자

승인 : 2025. 07. 08. 17:56

트럼프 "8월1일부터 25% 상호관세"
정부, 3주 미뤄진 시한 '내실'에 중점
방미 위성락, 루비오와 '접점' 조율
이달 중 韓美정상회담 분수령될 듯
캐롤라인 레빗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7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낸 상호관세 관련 서한을 들어 보이고 있다. /로이터 연합
대통령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모든 한국산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조속한 협의도 중요하지만 국익을 관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가치"라고 강조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상호관세 유예종료 시한(8일)을 전격적으로 늦추며 국내 경제·산업계의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지만, '속도'에 집착하기보다 '내실'에 중점을 둔 협상으로 최대한 국익을 지키겠다는 구상이다.

◇'속도'보다 '국익'…"정부 출범 후 시간 부족했다"

김용범 정책실장은 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대미통상현안관계부처 대책회의'에서 "당장 관세율이 인상되는 상황은 피했고, 7월 말까지 대응 시간을 확보했다"며 "국익을 최우선으로 미국과의 협상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김 실장은 새 정부 출범 후 관세협상 과정의 '물리적 시간' 부족을 설명하기도 했다. 그는 "새 정부 출범 이후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한미 통상장관·안보실장 협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등 양·다자회의 계기에 양국 간 호혜적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다양한 이슈들을 포괄해 최종 합의까지 도달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수출 등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자동차·철강 등 국내 관련 업종에 대한 지원 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는 한편, 시장 다변화 등 수출 대책도 보강해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위성락, 루비오와 만나 8월 1일까지 '접점' 찾기로

방미 중인 위성락 국가안보실장도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한미 안보실장 협의를 갖고 관세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했다. 특히 한미 조선 협력과 관련해 양측은 정부와 업계 등 다양한 영역의 역량을 결집하는 것이 실질적이고 상호호혜적인 협력 방안 도출의 관건인 만큼 긴밀히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

대통령실은 한미 안보실장 협의과정에서 나온 관세 이슈와 관련해 "미측은 한국을 포함해 주요국 대상 관세 서한이 오늘 발송되었으나 실제 관세 부과 시점인 8월 1일까지 시간이 있는 만큼, 양국이 그 전까지 합의를 이루기 위해 긴밀히 소통해 나가길 바란다고 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한미정상회담을 위한 실무 협력도 속도를 내고 있다. 대통령실은 "우리 측은 조속한 시일 내 한미정상회담 개최를 통해 제반 현안에서 상호호혜적인 결과를 진전시켜 나가길 희망한다고 했고, 이에 대해 미측은 공감을 표했다"고 밝혔다. 외교가에선 이르면 이달 중 백악관에서 이재명 정부 첫 한미정상회담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충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