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르포] 검역은 빠르게, 지원은 확실하게...김해공항서 엿본 미래 검역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10010003903

글자크기

닫기

김민환 기자

승인 : 2025. 05. 11. 12:00

10초 만에 끝나는 빠른 검역
발열 체크에서 검사 서비스로
김포·제주로 확대되는 혁신
KakaoTalk_20250509_153350866_01
김해공항검역소 관계자들이 새로운 검역정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질병관리청
종이 서류를 들고 줄을 서서 기다리던 공항 검역 풍경이 사라지고 있다. 지난 8일 김해국제공항. 스마트폰 화면에 뜬 QR코드를 검역대에 찍자 단 10초 만에 검역대를 통과할 수 있었다.

질병관리청이 주최한 '여행자 건강 중심 검역, 현장에서 답을 찾습니다' 현장 간담회에서 펼쳐진 새로운 검역 풍경이다. 이날 질병관리청 관계자와 검역소 직원, 출입기자단, 국민소통단이 참석한 가운데, 단순 확인과 안내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직접 검사와 진단까지 제공하는 한국 검역의 미래를 엿볼 수 있었다.

◇ 검역의 새 역할, 발열 확인에서 건강 지킴이로
KakaoTalk_20250509_153350866_15
시연에 참가한 국민소통단 참가자와 검역소 직원이 검체 채취를 진행하고 있다./질병관리청
간담회 현장에서는 "중국 상하이에서 오는 KE1407 항공편에서 발열과 기침 증상이 있는 여행객이 입국하는 상황"을 가정한 시연이 진행됐다. 검역관과 여행객 역할을 맡은 참가자들은 큐코드(Q-CODE) 시스템 활용부터 호흡기 검사 서비스까지의 전 과정을 보여주었다.

검역관이 큐코드 시스템으로 사전 입력된 여행객 정보를 확인하고, 체온 측정 결과 38℃가 확인되자 검역조사실로 안내했다. 검역조사실에서는 증상 발현 시점과 여행 이력 등에 대한 상세한 문진이 이뤄졌다.

특히 주목을 끈 것은 실제 검역소 직원이 진행한 검체 채취 과정이었다. 개인보호장비를 착용한 검역소 직원은 전문적으로 검체를 채취했고, 참관객들은 실제 검역 현장의 모습을 생생히 지켜볼 수 있었다.

그간 한국의 검역은 해외에서 감염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관문' 역할에 집중해왔다. 하지만 질병청은 이제 "여행자가 자발적으로 건강 상태를 신고하고, 검역소는 전문적인 건강 상담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한다고 설명했다.

김지원 김해공항검역소 검역팀장은 "예전에는 단순 발열이나 기침 증상이 있는 분들에게 '병원에 가보세요'라고만 말씀드릴 수 있었는데, 이제는 호흡기 감염병 검사 서비스가 생겨 직접 도움을 드릴 수 있어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 1분에서 10초로…큐코드가 바꾸는 입국 경험
KakaoTalk_20250509_153450455_08
현장에서 참가자가 태블릿을 통해 큐코드를 발급하는 모습./질병관리청
간담회에서는 참가자들이 직접 큐코드 시스템을 체험해보는 시간도 마련됐다. 키오스크, 태블릿, 개인 휴대폰을 통해 정보를 입력하고 QR코드를 발급받아 검역대를 통과하는 과정까지 체험했다. 한 참가자는 "수기 작성의 번거로움 없이 휴대폰으로 미리 입력하니 정말 편리하다"며 소감을 전했고, QR코드 스캔만으로 신속하게 진행되는 모습에 놀라움을 표했다.

실제 큐코드 시스템 시범 기간 입국자 한 명당 검역 시간이 기존 1분에서 10초로 단축됐다. 최근 김해공항에서 179명이 탑승한 대만발 항공기의 검역 시간이 20분에서 14분으로 단축됐으며, 만족도 조사에서 응답자의 65%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참석자들은 검역이 단순한 국경 관리에서 여행객 건강 서비스로 확장되고 있음을 체감했다. 검역 시간 단축과 건강 서비스 확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김해공항의 혁신 사례는 향후 입국 절차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민환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