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강남권 아파트 전세가율 역대 최저…‘토허제’ 따른 매매가격 상승 영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06010001530

글자크기

닫기

전원준 기자

승인 : 2025. 05. 06. 09:53

KB국민은행 조사…강북 전세가율 상승세와 대비
서울의 한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
서울의 한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연합뉴스
지난달 서울 강남권 아파트 전세가율(매매 대비 전세가 비율)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 영향으로 이들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세가격에 비해 크게 올랐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6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강남구 아파트 전세가율은 40.7%로 집계됐다. KB국민은행이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13년 4월(50.1%) 이후 가장 낮다.

송파구와 강동구도 각각 43.1%, 50.0%로, 이들 지역 역시 조사 이래 가장 낮은 전세가율을 기록했다.

서초구는 45.4%로 2023년 9월(45.2%)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저치다.

노원구(54.6%)나 도봉구(57.8%), 은평구(60.9%), 금천구(62.2%) 등의 강북 일부 지역의 전세가율이 50%를 넘는 것과 배치된다.

강남권 전세가율이 역대 최저로 떨어진 것은 지난 2월 서울시의 강남 '잠삼대청'(잠실·삼성·대청·청담동)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전후해 강남 지역 아파트값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국민은행 통계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올해 2월 한 달간 0.06% 올랐으나 이후 2월 중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영향으로 3월은 0.65%로 상승폭이 뛰었고, 4월은 0.98%로 오름폭이 더 커졌다.

이에 비해 전셋값은 2월 0.03%에서 3월 0.16%, 4월 0.27%로 상승폭이 커졌지만 매매가에 비해 오름폭이 작다.

전세가율 하락으로 인해 전세를 끼고 아파트를 매입하려는 갭투자 수요자의 부담이 더욱 커질 것이란 게 업계 시각이다.
전원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