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농수산물시장은 음식체험 교류의 장
직장·주거·여가가 공존하는 도시로 구체화
|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5월, 아랍에미리트(UAE) 출장에서 밝힌 일자리·주거·여가·문화·녹지가 공존하는 '상암 재창조' 구상이 드디어 첫발을 뗀다.
서울시는 디지털미디어시티(DMC)와 월드컵공원, 한강을 아우르는 상암 일대 종합 마스터플랜을 마무리하고 본격적인 실행에 들어간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지난해 오 시장이 아부다비 방문 당시 강조했던 "직장·주거·여가가 공존하는 상암"과 "정원도시로서의 잠재력"을 구체화한 것으로, 서울 서북권 관문인 상암을 국제적 창조도시로 탈바꿈시키는 첫 단계가 될 전망이다. 시는 '상암 재창조 종합 마스터플랜'을 바탕으로 민간과 함께 구체적인 개발 및 운영 계획을 완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상암 재창조'는 대규모 중장기 프로젝트인 만큼 마스터플랜 아래 개별 사업이 단계적으로 추진될 예정으로, 그 첫 단계로 문화비축기지와 마포농수산물시장 일대 선도 사업이 추진된다. 특히 시는 문화비축기지 활성화 및 마포농수산물시장 일대 개발을 통해 문화비축기지~월드컵경기장~평화의공원에 이르는 공간에 즐거움이 넘치는 상암 '펀 시티(Fun City)'로 우선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문화비축기지는 상암 재창조의 첫 번째 핵심 거점이 된다. 시는 이달부터 5개 탱크 정비에 착수, 콘텐츠 중심의 대중문화 허브로 탈바꿈시켜 오는 9월 재개장할 예정이다. 케이팝과 한류 방송·공연·글로벌 플랫폼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을 제안한 ㈜더문엔터테인먼트가 탱크공간 민간 운영자로 선정됐다.
시 관계자는 "문화비축기지를 보다 대중적이고 활력 넘치는 장소로 재탄생시키기 위해 민간의 창의성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선정된 민간 운영자는 탱크별로 건축·미술 전시, K-pop 공연, 영상· VR 프로그램, IP 활용 전시 등 각기 다른 콘셉트의 콘텐츠를 선보인다.
문화비축기지와 함께 마포농수산물시장 일대도 변화를 맞는다. 시는 시장과 평화의공원 주차장 일대 민간투자사업을 추진, '민관동행사업'으로 복합시설로 탈바꿈시킨다. '음식 문화 중심의 소비·체험·교류의 장'으로 조성돼 상암 '펀 시티'의 중심 입지에 걸맞은 공간으로 변모할 예정이다.
시장 복합화로 노후한 전통시장을 현대화하고 대규모 지상주차장은 입체공원·하부 주차장으로 조성, 시민 휴게공간과 체험 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하늘공원 등 상암 지역 내 보행 또한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상암 재창조 마스터플랜은 펀(Fun)·크리에이티브(Creative)·에코(ECO) 도시를 목표로 지속 보완해 나갈 예정"이라며 "시민 일상과 문화·관광 인프라, 글로벌 비즈니스, K-컬처가 살아 숨 쉬는 글로벌 창조도시로 다시 태어날 상암을 기대해 달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