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첼로와 함께한 50년을 기념하며 데카 레이블을 통해 신보 '에코 오브 엘레지'를 선보인 첼리스트 양성원(58) 연세대 음대 교수가 15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신영체임버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양 교수는 클래식이 더 이상 서양의 전유물이 아니라 인류 공통의 문화유산이라는 메시지를 전하며, 국악 유전자가 한국 연주자들의 성공 비결이라는 독특한 시각도 제시했다.
그는 "한국인의 피에는 국악의 유전자가 흐르고 있다"면서 "이 유전적 요소가 한국 연주자들이 세계무대에서 빛나는 비결"이라고 강조했다.
양 교수가 50주년을 맞아 선택한 작품은 엘가의 첼로 협주곡과 피아노 오중주다. 그는 "엘가 협주곡은 나의 음악적 여정에서 언제나 곁을 지킨 동반자였다"며 "첫 화음부터 위엄과 슬픔이 공존하는 이 곡은 첼리스트에게 끊임없는 도전이자 영감"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마지막 악장의 재현부는 영국음악이 도달할 수 있는 애가적 순간의 극치"라고 덧붙였다.
|
AI 시대 클래식 음악의 가치에 대한 통찰도 인상적이다. 양 교수는 "AI는 놀라움을 줄 수 있지만 감동을 전하지는 못한다"면서 "점점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에서 클래식은 '슬로우 음악'으로서 더욱 가치를 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음 달 27일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예정된 50주년 기념 공연은 그 자체로 도전이다. "마라톤 콘서트라 부를 정도로 체력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쉽지 않은 도전이지만, 첼로와 함께한 반세기를 기념하는 의미 있는 무대가 될 것"이라고 양 교수는 설명했다. 이 공연에서 그는 윌슨 응이 지휘하는 수원시립교향악단과 함께 차이콥스키, 엘가, 드보르자크의 첼로 협주곡을 연주한다.
첼로 연주자로서 50년을 보낸 양 교수는 남은 음악 인생의 방향도 명확히 했다. "클래식은 오래전부터 내려온 인류의 유산입니다. 이제 제 역할은 이 소중한 유산을 다음 세대에게 전달하고, 그들이 더 따뜻하고 용기 있게 음악의 길을 걸어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