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기도, ‘교량 닥터’ 시행...30년 이상된 176개 소규모 노후교량 집중 관리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407010003481

글자크기

닫기

의정부 진현탁 기자

승인 : 2025. 04. 07. 07:23

교량분야 박사, 기술사 등 외부전문가 26명으로 구성
경기도청사 전경
경기도청사 전경/경기도
경기도가 30년 이상된 소규모인 3종 노후 교량 176개를 집중 관리하는 '경기도 교량 닥터' 사업을 한다.

현재 행정과 예산의 한계로 1,2종 시설물인 100m 이상 중대형 교량 안전에 집중되어 있는 데 반해 20m 이상 100m 미만인 소규모 교량은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판단에서다.

7일 도에 따르면 '교량 닥터'는 토목구조 또는 교량 분야 박사, 기술사인 외부전문 등 권역별로 전문기술자 26명으로 구성됐다. 소규모 노후 교량의 안정성 확보와 집중관리를 위한 자문에 참여하게 된다.

도는 올해 4월부터 준공 후 30년 이상 지난 소규모 노후 교량 176개(김포 4, 화성 7, 안성 22, 용인 16, 광주 14, 이천 5, 여주 22, 양평 26, 파주 11, 양주 15, 연천 5, 남양주 9, 가평 9, 포천 11)를 대상으로 '경기도 교량 닥터'가 안전관리를 집중하도록 했다.

자문단은 정기적인 현장 안전점검 외에도 해빙기, 우기 등 취약시기에 정밀안전점검과 진단을 실시하는 것은 물론 용역 및 시공 등의 적정성 검토, 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에도 참여한다.

강성습 도 건설국장은 "1·2종 교량은 관리 체계가 확립돼 있지만 3종 이하 소규모 교량은 그렇지 않다"면서 "지난 2023년 발생한 성남 정자교 붕괴 사고와 같은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소규모 노후교량에 대한 안전 관리를 강화해 안전한 도로환경 조성과 도민의 신뢰를 높일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진현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