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정부, APEC 한중 회담서 실용적 협력 복원 추진해야”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8010011550

글자크기

닫기

목용재 기자

승인 : 2025. 10. 28. 16:10

전략硏 이슈브리프 “APEC 미중 협상, ‘관리’와 ‘통제된 경쟁’에 초점”
이재명 대통령, 한-아세안 정상회의 발언<YONHAP NO-2939>
이재명 대통령이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 간 실용적 협력 관계 복원을 추진해야 한다는 제언이 28일 제기됐다.

박병광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이날 '경주 APEC 정상회의 개최 의미와 관전포인트'라는 제하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이슈브리프를 통해 "시진핑 주석이 방한해 11월 1일 열릴 예정인 한중 정상회담은 (한중의) 공식 정상외교 복원을 의미한다"며 이같이 제언했다.

박 수석연구위원은 "한국은 미중 경쟁구도 속에서 중국을 '경쟁이 아닌 관리와 협력의 대상'으로 인식하며 경제 협력, 기술, 공급망, 인공지능(AI) 거버넌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가능성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경제 협력', '투명한 안보', '기술 교류' 등을 중심으로 한 대중 전략을 추진해야 함을 주문했다.

다만 중국으로서는 한중 관계 회복의 필요성에 공감하면서도 대만 문제에 대한 한국 정부의 명확한 입장 표명을 요구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했다. 또한 미중 전략 경쟁 속에서 한국을 '전략적 중립 혹은 부분적 협력 파트너'로 끌어들이기 위한 복합적인 요구를 제시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중 간 정상회담에 대해서는 양국 간 새로운 '관계 관리 매뉴얼'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박 수석연구위원은 미중이 이번 회담에서 각각 대중 고율 관세 정책과 희토류 등 수출 규제책 등을 협상 카드로 활용할 것이라며 관련 협상에서 실질적인 양보가 이뤄지기보다는 '대화의 문을 열어둔다'는 상징적인 제스쳐에 그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했다. 박 수석연구위원은 "이번 회담은 완전한 화해보다 '충돌관리', 협상 타결보다 '통제된 경쟁'과 '선별적 협력 복원'의 틀을 구축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APEC 계기 한미 정상회담에서 관세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합의문을 발표하거나 완전한 서면 합의가 어렵다면 조건부 수준의 합의라도 이루는 것이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어 박 수석연구위원은 "이번 (APEC) 정상회의는 미중 간 전략적 긴장이 완화될지, 그리고 한국이 한미·미중 관계의 균열 속에서 새로운 외교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을지, 또한 한국이 그 균열 속에서 외교적 공간을 창출할 수 있을지 가늠하는 중요한 시험대"라고 평가했다.
목용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