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美, 전액 현금투자 고수 안해, 외환시장에 부담없는 선 진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1010006998

글자크기

닫기

영종도 김정규 기자

승인 : 2025. 10. 20. 19:43

산업장관, 관세 후속협상 후 귀국
미국과의 관세 후속협상을 마치고 귀국한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미국이 3500억달러 전액 현금 투자를 고수하는 상황은 아니다"라며 "양측이 한국의 외환시장에 부담을 주지 않는 선에서 협상의 진전을 이뤘다"고 말했다.

또 APEC 전 타결 가능성에 대해선 "양측 모두 공감대가 있지만, 국익이 더 우선"이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20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걸(공감대를) 바탕으로 여러 쟁점들이 서로 합의점에 이를 수 있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한국이 감내) 가능한 범위를 찾기 위해 마지막 움직임이 있다"면서도 세부적 쟁점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김 장관은 지난 16일(현지시간)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등과 함께 미국 워싱턴 D.C.의 상무부 청사를 방문해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한국의 대미 투자 패키지의 구체적 실천 방안 등에 대해 협의했다.

결국 막판 쟁점은 한국이 투자를 약속한 3500억 달러의 세부적 지불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김 장관은 현재 미국이 당초 요구했던 '3500억 달러 전액 현금 투자'를 고수하는 상황은 아니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거기까지 갔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텐데, 상당 부분 미국에서 우리 측 의견을 받아들인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APEC 전 타결 가능성에 대해선 "두 정상이 만나는 기회가 흔치 않은 기회이기 때문에 양측이 APEC을 계기로 협상을 만들어 보자는 일치감이 있다"면서도 "국익에 맞는 타이밍까지 왔느냐가 더 우선"이라고 했다.

그는 또 "시기적으로 APEC 전에 해결 가능한 과제인지 판단이 필요하고, 필요하면 (미국에) 다시 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또 백악관 예산관리국(OMB)의 러셀 보트 국장과 면담하며 "마스가 프로젝트를 어떻게 구체화시켜 나갈지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김정규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