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의 군기 잡기에 금융권 기대와 우려가 동시에 나옵니다. 대체로 금융권 전반에서는 이 원장의 생산적 금융과 소비자 보호 취지에는 공감하면서 소비자보호 평가지표 강화 등으로 신뢰성 향상과 공정한 경쟁이 촉진될 것이라고 업계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이 원장의 강경 기조로 인해 잦은 점검으로 현장 피로와 관치가 과도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하죠.
이복현 전 금감원장의 데자뷔. 금융권이 이찬진 금감원장을 바라보는 시선입니다. 이복현 전 원장은 검찰 출신으로 비금융권 인사죠. 이찬진 원장 역시 변호사 출신으로 비금융권 인사입니다. 이렇듯 비금융권 인사이기 때문에 금융업권 현장에 대한 이해도가 금융권 인사에 비해 부족할 수 있지만, 막강한 권력과 강경 일변도의 기조로 업권과 마찰을 빚을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이복현 전 원장의 경우 실제 일부 금융지주와의 마찰을 겪기도 했죠.
이날 여신금융협회에서 열린 여전사 CEO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이 원장은 "최고경영진이 장기적인 시각에서 금융소비자의 정보보호를 직접 챙겨달라"고 언급했습니다. 이 원장은 '제로 톨러런스(Zero-Tolerance·무관용 원칙)'를 통해 CEO가 직접 사이버 보안 인프라를 점검하고, 정보보호의무를 철저히 준수하라고도 당부했습니다. CEO가 책임지고 금융 소비자 보호에 나서야 한다고 압박한 겁니다. 이는 최근 롯데카드 해킹사태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이 원장의 군기잡기는 금융권 전반적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28일에 열린 은행장들과 만난 자리에선 금융소비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꼽아, 피해 발생 시 엄정 대응한다는 방침을 언급했습니다. 이는 은행권에서 홍콩 주가연계파생상품(ELS) 불완전판매로 수조원대 과징금 처분받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 나온 발언입니다. 해당 발언 당시 은행권에서는 그의 말이 수위가 높아 당혹스러운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지난 8일 열린 금융투자업계 CEO들과 만난 자리에선 투자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CEO들을 향해선 "임직원 스스로가 이해하지 못하거나 가족에게 권하기 어려운 상품은 판매하지 말라"고 압박하기도 했습니다.
소비자보호에서 만큼은 강경 일변도 기조를 보이는 이찬진 원장. 향후 그의 행보와 업계 대응이 어떻게 진행될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