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1 비자에 대한 한미 해석 차이...체계 개편까지 미 현지 상황 맞춰야”
|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이날 인천공항에서 귀국하는 근로자들을 맞이한 이후 기자들과 만나 "정부는 구금된 우리 국민을 한시라도 빠르게 모시기 위해 총력을 다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강 실장은 "복귀하시는 분들이 일상 생활에서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심리 치료 지원 방안도 관심을 갖고 살펴볼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새로운 비자를 만드는 방안을 포함해 미국 비자 발급과 체류 자격 시스템 개선을 향후에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귀국자는 한국인 316명과 외국인 14명으로 이 가운데에는 임산부도 1명도 포함돼 있었다. 임산부는 퍼스트클래스 좌석으로 귀국했다.
귀국한 근로자들의 미 재입국은 당장 가능한 인원부터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강훈식 실장은 근로자들의 소속회사로부터 확인한 내용이라며 "당분간 귀국인원들은 심리 치료나 여러 가지 상황에 있어서 바로 출국하는 것은 회사 차원에서 권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는 미 이민당국의 한국 근로자 체포와 같은 사건의 재발 방지안을 한미워킹그룹을 통해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단기 비즈니스 방문 비자인 'B1비자'로 미국 내에서 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지 여부도 중장기적인 논의 대상이다.
강훈식 실장은 B1비자에 대한 해석의 차이가 한미 간에 있는 상태라며 미국과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강 실장은 "우리나라는 설비, 초반 시설 작업 등은 가능하게 돼있고 이스타 비자도 일정하게 준해서 움직인다는 전제가 있었지만 미 당국이 클레임을 걸어 문제가 발생한 것"이라며 "근본적인 체계를 개편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최대한 미국의 현재 상황에 맞추어 움직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