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투데이갤러리]김창열의 ‘제사’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909010004658

글자크기

닫기

전혜원 기자

승인 : 2025. 09. 09. 09:55

투데이갤러리 김창열 제사
제사(162×137cm 캔버스에 유화 물감 1966)
김창열은 1929년 평안남도 맹산에서 태어났다. 16세 즈음에 홀로 월남하면서 고향을 떠났고, 해방과 분단, 전쟁이라는 격동기를 거치며 유년기와 청년기를 정치적 혼란과 극단적 생존 상황 속에서 보냈다. 이러한 경험은 죽음과 삶이라는 주제를 필연적으로 내면화하는 계기였고, 그의 예술 전반을 지탱하는 중요한 바탕이 됐다.

해방 이후 김창열은 이쾌대가 운영하던 성북회화연구소에서 교육을 받으며 본격적으로 미술을 시작했고, 서울대 미술대학에 진학했으나 한국전쟁 발발로 학업을 중단했다. 이후 경찰전문학교에 입교해 제주도에서 1년 6개월간 근무했으며, 그림뿐만 아니라 문학 활동에도 참여하는 등 창작의 폭을 넓혀갔다.

1950년대 후반 그는 '현대미술가협회' 창립을 주도하며 서구에서 유입된 앵포르멜 미술을 한국 상황에 새롭게 접목하려는 실험을 이끌었다. 김창열에게 앵포르멜은 단순한 양식이 아니라, 총알 자국과 탱크의 흔적처럼 전쟁의 고통스러운 절규를 화면에 메우는 행위였고, 죽음을 위로하는 제의(祭儀)와도 같았다. 그는 당시 대다수 작품에 '제사'라는 제목을 붙였고, 이 시기는 그의 예술세계에서 상처를 형상화하는 중요한 시작점이 됐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전혜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