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우크라이나, 러 침공 후 첫 反정부 시위…수습 나선 젤렌스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724010014107

글자크기

닫기

이정은 기자

승인 : 2025. 07. 24. 11:21

우크라 시민, EU, 국제 단체 반발
젤렌스키, 새 법안 제출할 것
UKRAINE GOVERMENT PROTEST <YONHAP NO-2167> (EPA)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23일(현지시간) 시민들이 젤렌스키 대통령의 법안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EPA 연합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대대적인 반(反)정부 시위가 벌어졌다. 2022년 2월 러시아 침공 이후 처음이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22일(현지시간) 고위공직자에 대한 감시를 담당하는 기관들의 권한을 축소하는 내용의 법안에 서명했다.

이 법안은 대통령실의 주도로 추진됐으며 국가반부패국(NABU)과 특별반부패검찰청(SAPO)을 대통령이 임명한 검찰총장이 직접 관리·감독하게 만드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여당이 다수인 의회에서는 이를 즉시 통과시켰다.

AP통신 등 외신은 이날 시민들이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 르비우, 드니프로, 오데사 등 전국 곳곳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의 법안 서명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고 보도했다.

시민들은 '러시아에 온 것을 환영한다', '민주주의 훼손', '작은 권위주의로의 회귀'라고 외치며 우크라이나 정부를 비판했다.

남편이 전장에 있다고 밝힌 카테리나 아멜리나는 "그들이 이런 것을 위해 싸우고 있는 게 아니다"라며 "시민사회의 10년 노력이 파괴될 수 있다"라고 뉴욕타임스(NYT)를 통해 전했다.

2022년 부상으로 두 다리를 잃은 참전용사 올레 시모로즈는 "법과 헌법을 수호하겠다고 맹세한 이들이 오히려 내부 인맥을 감싸기 위해 우크라이나 민주주의를 희생시키고 있다"라고 AP통신을 통해 말했다.

야권 지도자인 올렉시 곤차렌코 하원의원은 "반부패 기관의 독립성이 사라졌다. '작은 독재 국가(우크라이나)'는 조만간 '큰 독재국가(러시아)'에 삼켜질 것"이라며 맹렬히 비판했다.

유럽연합(EU)과 국제 인권 단체도 이 법안을 비난했다.

요한 바데풀 독일 외무장관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게시한 글에서 "우크라이나 반부패 기관의 독립성을 제한하는 것은 우크라이나의 EU 진출을 방해한다"라고 경고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의 영향력을 제거하고 수사 속도를 높이는 것이 이 법안의 취지라 설명했다. 또 "시민들의 소리를 듣고 있다"라며 NABU·SAPO·검찰청 등이 참여하는 '공동 행동계획'을 2주 내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젤렌스키 대통령은 23일 저녁 연설에서 반부패 기관의 독립성을 유지하겠다고 약속하며 "의회에 새로운 법안을 제출할 것"이라고 밝히며 사태 수습에 나섰다.
이정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