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대통령은 "국가는 노동을 통해 살아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킬 책임이 있다"며 "현장의 안전 관리에 미흡한 점이 있었는지 철저히 밝히고 중대재해처벌법 등 관련 법령의 위반 여부가 있었는지 철저히 조사해 책임자에 대해 엄중한 조치를 취하라"고 강조했다.
이어 "후진국형 산재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현장 안전 관리를 정비하고, 사전 지도·감독을 강화하는 등 관련 부처에 특단의 조치를 취하라"라고 거듭 주문했다.
인천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전날 인천 계양구 병방동 도로 맨홀에서 오폐수 관로 현황을 조사하던 A씨(52)가 실종됐다. A씨는 이날 오전 인천 굴포천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이날 브리핑은 이 대통령 특별지시로 진행됐다.
이 수석은 '산업재해 책임 강화를 위한 법 개정 등이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법 개정에 대해 관련 부처에 계속 지시하고 있다. 조만간 가시적인 보고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사고 원인 조사 과정에서 '안전의 외주화' 문제가 발생할 경우 더 강력한 조치가 이뤄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지난 달 4일 국회에서 취임 선서를 한 후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안전하고 평화로운 나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당시 "세월호, 이태원 참사, 오송 지하차도 참사 등 사회적 참사의 진상을 명확히 규명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이 위협받지 않는 안전사회를 건설하겠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를 위협하고, 부당하게 약자를 억압하며, 주가조작 같은 불공정거래로 시장 질서를 위협하는 등 규칙을 어겨 이익을 얻고 규칙을 지켜 피해를 입는 것은 결코 허용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후 이 대통령은 국무회의, 수석비서관회의 등 여러 회의 석상에서 장마철 안전사고, 폭염 대비 등 철저한 대비를 수차례 강조했다.
또 이 대통령은 장마철을 앞두고 한강홍수통제소를 찾아 철저한 사전 대비를 강조했고, 이태원 참사 현장을 찾아 안전 대책 마련을 지시하기도 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들 자리에서 "부주의나 무관심 등으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엄정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하며 담당자들의 철저한 대비 태세를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