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관세율 115%p씩 인하 미중 무역합의 주요 내용은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512010005115

글자크기

닫기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승인 : 2025. 05. 12. 21:32

미, 대중 관세율 145%서 30%
중, 대미 관세율 125%서 10% 인하 합의
14일 발효, 90일 유지...트럼프-시진핑 정상회담서 최종 발표 가능성
대중 실질 관세율, 39%...품목별 관세 비포함
USA-TRUMP/TARIFFS-CHINA-MARKETS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오른쪽)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12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미·중 무역협상 결과에 관련한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로이터·연합
아시아투데이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미국과 중국은 12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진행된 사흘간의 무역협상 후 관세율을 115%포인트(p) 각각 인하하기로 합의하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국에 추가로 부과한 관세는 145%에서 30%로 낮아지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중국의 보복 관세는 125%에서 10%로 낮아진다.

이번 합의는 14일부터 발효돼 양국이 최종 합의를 하는 90일 동안 유지된다. 미·중이 무역협상을 진행하면서 최종 합의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간 정상회담 등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면서 진행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중국산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 30%는 트럼프 대통령이 2월 초와 3월 초에 중국 합성 마약 펜타닐의 미국 수출을 규제하지 않는다며 각각 10%씩 부과한 총 20%, 4월 2일 전 세계 대부분 교역국·파트너에게 부과한 기본 관세 10%를 합친 수치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20일 취임하기 전 미국의 대(對)중국 실효 관세율이 11%였고, 일부 면제를 고려하면 이번 조치로 관세율은 약 39%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씨티그룹과 매쿼리 이코노미스트팀의 분석을 인용해 전했다.

중국의 관세율 10%는 미국의 대중국 관세에 대응해 부과한 125% 중 미국의 삭감률 115%포인트를 뺀 수치다.

중국은 또 미국에 대한 보복성 비관세 조치를 중단하거나 취소하기로 했고, 여기에는 배터리 및 기타 첨단 기술 분야에 사용되는 희토류 등 중요 광물에 대한 수출 제한도 포함될 수 있다고 WSJ은 전했다.

SWITZERLAND-GENEVA-CHINA-HE LIFENG-WTO CHIEF-MEETING
허리펑(何立峰) 중국 국무원 부총리(오른쪽)가 11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응고지 오콘조-이웰라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AP·연합5051
이번 합의에는 자동차·철강·알루미늄에 대한 25% 등 모든 무역 파트너에 적용되는 품목별 관세는 포함되지 않는다고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특히 양국이 중국의 미국산 제품 추가 구매를 위한 중국의 합의 가능성을 논의해 무역 불균형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협상에서 환율에 관한 논의는 없었다고 베선트 장관은 전했다.

이번 합의와 관련, 베선트 장관은 "어느 쪽도 디커플링(decoupling·공급망 등 분리)을 원하지 않는다"고 했고,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무역전쟁 격화가 사실상 무역 금지 조치(embargo)라며 "어느 쪽이든 지속 가능한 관행이 아니다"고 말했다.
하만주 워싱턴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