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경찰, ‘온라인 마약수사’ 전담팀 출범…타깃형 수사 체계 운영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31010016626

글자크기

닫기

설소영 기자

승인 : 2025. 03. 31. 07:56

온라인 마약 수사 전담팀 전국 시도청 운영
보안 메신저 등 유통 단계별 연결고리 정조준
2025032601002248200139361
경찰청. /박성일 기자
경찰이 텔레그램 등 보안 메신저와 가상자산을 활용한 '온라인 마약 시장'을 척결하기 위해 전담팀을 출범시켰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는 2020년부터 전국 시도경찰청에서 운영해 오고 있던 '다크웹·가상자산 전문수사팀'을 '온라인 마약 수사 전담팀'으로 개편(17개 청 82명)해 운영한다고 31일 밝혔다.

개편된 전담팀에서는 △불법 가상자산 거래소 △판매 광고 대행업자 △전담 운반책 등 마약류 유통단계 간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하는 '유통 수단'에 대한 '타깃형 수사체계'를 가동할 방침이다.

경찰은 지난 17일부터 오는 6월30일까지 2025년 상반기 마약류 집중단속을 벌이고 있다. 이 가운데 '온라인 마약류'를 중점 단속 테마로 선정하고 수사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온라인 마약류를 제외한 중점 단속 분야는 △의료용 마약류 △취약지역 마약류 △양귀비·대마 등 불법 재배 등이다.

특히 스마트폰을 통한 전자상거래에 익숙한 10~30대 젊은 층의 마약 사범 비율이 전체의 63.4%에 달하는 등 온라인 공간이 고수익 비대면 거래처'라는 잘못된 인식이 퍼지는 데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경찰은 '온라인 마약류' 수사의 전문 역량도 강화한다. 경찰은 사이버 추적기법과 법령 교육 등 전문 커리큘럼을 신설하고, 가상자산 추적 프로그램과 분석 전문가 지원으로 범죄 수익금 환수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아울러 불법 가상자산 거래소나 전문 광고업자에 대해서도 마약류 매매 방조 혐의 적용을 적극 검토해 단속에 빈틈이 없도록 하겠다는 입장이다.

해외 IT 기업, 보안 메신저 등이 온라인 마약류 범죄에 이용된 경우 '국제공조 인프라'를 활용해 수사 단서를 확보할 방침이다.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마약류는 지난해 9월 발족한 아시아 마약범죄 대응 실무협의체(ANCRA)의 '국가 간 마약류 수사 협력 채널'도 적극 가동할 계획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마약류 범죄는 유통 기반의 범죄로, 유통 수단의 연결고리를 단절해 온라인 마약 시장 자체를 와해하겠다"며 "단 한 번의 투약으로도 되돌릴 수 없는 신체·정신적 손상을 초래하는 만큼 호기심으로라도 마약에 접근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설소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