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K산업비전포럼] 자동차·배터리·반도체사업 전문가들 모여 트럼프 2기 대응 전략 논의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26010014227

글자크기

닫기

이체리 기자 | 홍채완 기자

승인 : 2025. 03. 26. 15:00

이항구 "위기를 기회로 살려서 자동차산업 성장해야…전문인력 확보 시급"
최종서 "미국 배터리산업 기반 전무…우리 배터리산업을 카드로 써야"
안기현 "반도체 각국별 각자도생 경쟁체제 돌입…정부 도움 필요"
K-산업비전포럼
국민의힘 강승규·김은혜 의원과 아시아투데이 선상신 부회장·황석순 사장,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를 비롯한 내빈 및 토론자들이 26일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제2회 아시아투데이 K-산업비전포럼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송의주 기자
'제2회 아시아투데이 K-산업비전포럼'에서 25일 산업 각계의 전문가들이 모여 트럼프 2기 관세 정책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주제 발표 이후 토론의 첫 패널이었던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트럼프 2기에 제대로 대응을 하기 위해서 자동차산업의 전문인력 확충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 위원은 "수주를 많이 해도 일할 사람이 없어 문제인 조선산업처럼 자동차산업도 전문인력이 수도권에만 집중돼있는 게 문제"라고 설명했다. 그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로 미국 자동차산업 회복이 아직 덜 되어 있어 우리에게 기회인 상황인데, 우리가 대미 통상에서 기회를 얻는다고 하더라도 인력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그 기회를 살리기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두 번째 패널이었던 최종서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상무이사는 "미국은 배터리 산업 기반이 전무하다"며 우리가 배터리산업을 대미 통상의 카드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내 배터리 업계가 미국에 512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인 바, 최 상무이사는 "우리가 미국의 에너지 안보에 도움을 줄뿐만 아니라 미국의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적극 어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 패널이었던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트럼프 2기 정부가 산업 육성을 위해 기업들과 직접 상대하는 일이 많아질 것"이라며 "국가적으로 친한 줄 알았는데 거리를 두는 것"이라고 관측했다.

안 전무는 "미국이 반도체를 놓고 협력 국가에서 경쟁 국가가 돼버렸다"고 덧붙였다. 그는 "반도체 제조 생태계가 분업화, 협력화 체제에서 경쟁 체제로 바뀌었다"며 "경쟁에서 생존하려면 한국 반도체 산업은 타 국가들에 비해 소재 부품 장비 쪽이 약하기 때문에 정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체리 기자
홍채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