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K산업비전포럼] 김수동 산업연구원 단장 “美함정·상선 국내 조선사 도움 절대적 필요”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26010014193

글자크기

닫기

김한슬 기자

승인 : 2025. 03. 26. 12:58

K-산업비전포럼
김수동 산업연구원 글로벌경쟁전략연구단장이 26일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제2회 아시아투데이 K-산업비전포럼에서 '트럼피즘에 맞춘 산업별 대응 방안'이란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송의주 기자
김수동 산업연구원 글로벌경쟁전략연구단장이 국내 조선업계가 함정(특수선)과 상선 양 분야에서 미국으로의 상당한 성장기회가 열려 있다고 밝혔다.

김 연구단장은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개최된 제2회 아시아투데이 K-산업비전포럼에서 "미국 조선업은 거의 쇠퇴한 상황"이라며 "업체들이 대부분 문을 닫았고 매우 취약한 수준인데, 앞으로도 중국의 생산 능력이나 함정 생산속도와 양을 봤을 때 미국이 이것을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 연구단장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미국이 당장 함정 250척 이상을 향후 10~15년간 만들겠다는 법안 등을 발의했다"며 "다만 미국이 현재 1년에 함정을 만들 수 있는 역량은 1~2척뿐이다. 결국 해외 동맹국에 의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 물량을 중국에 맡기지 않기 때문에 결국 한국으로 상당 부분 올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는 "상선도 마찬가지"라며 "컨테이너선, 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등 상선분야에서 미국은 연간 80~90척을 운영하고, 중국은 5500척을 운영해 규모적인 측면에서 압도적으로 밀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이 2050년까지 상선 350척을 건조한다는 법안 역시 발의했다"며 "결국 그 배도 한국과 일본에 맡길 수밖에 없다"고 봤다.

김 연구단장은 "이미 국내 조선업계가 3~4년치 수주 물량을 확보하고 있는데 향후 미국 선박이 발주되면 더 만들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며 "이에 업계가 미국 배를 우선 만들어주는 등의 조건을 트럼프 정부와 논의해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한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