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취재후일담] 아이부터 노인까지 두루 챙기는 건설사 회장님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324010012683

글자크기

닫기

전원준 기자

승인 : 2025. 03. 24. 14:52

이중근 부영 회장, 직원들에게 출산 자녀 1명당 1억원
기업의 출산장려금 비과세 요청에 정부도 화답
노인회 회장으로써 노인 기준 상향·재가임종제 도입 촉구
재가임종제 법제화 움직임…사회적 책임 돋보여
부영그룹
이중근 부영그룹 창업주 회장(가운데)이 지난달 5일 오전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 컨벤션홀에서 열린 '2025년 부영그룹 시무식'에서 출산 자녀를 둔 직원 부부에게 1억원의 출산장려금을 지급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전원준 기자
0.75명과 20%, 각각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합계 출산율과 국내 주민등록 인구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합계 출산율은 9년 만에 반등했지만,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던 2023년(0.72명)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습니다. 반면, 고령화 비율은 처음으로 20%를 넘어서며 공식적으로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전문가들은 저출산과 고령화를 우리나라가 직면한 가장 심각한 사회적 과제 중 하나로 지목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부작용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법제화 요구 등 팔을 걷어붙인 건설사 수장이 있어 눈길을 끕니다. 바로 부영그룹을 이끌고 있는 이중근 창업주 회장입니다.

이 회장은 지난해부터 자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녀 1명당 1억원을 주는 출산장려금 제도를 시행 중입니다. 작년에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출산한 직원에게 70억원을, 올해에는 28명의 직원에게 총 98억원을 각각 제공했습니다.

출산장려금 제도 도입 효과 역시 가시적입니다. 부영그룹 관계자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자사 직원들이 낳은 아이는 연 평균 23명이었는데, 작년에는 그보다 5명이 늘어난 28명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렇다 보니 결혼정보업체들이 자체적으로 매기는 등급표에서 부영그룹 직원들의 등급이 크게 상승했다는 이야기가 떠돌 정도입니다.

부영그룹에 입사를 희망하는 젊은 세대도 크게 늘고 있습니다. 작년 상반기 부영그룹의 경력 및 신입사원 공채 지원자는 직전 공개채용이 이뤄졌던 2017년과 비교해 5배 이상 늘었습니다. 2030세대 사이에 건설업 특유의 수직적인 문화 및 3D(Difficult(어렵고)·Dirty(더럽고)·Dangerous(위험한)) 업종 기피 현상이 짙어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눈에 띄는 결과입니다.

사회적 반향도 만만치 않았죠. 이 회장이 지난해 직원들에게 출산장려금을 지급하면서 정부와 국회에 요청한 세제 혜택이 법제화로 이어졌기 때문입니다. 이에 기업이 직원들을 대상으로 출산 2년 안에 지급하는 출산지원금의 비과세 한도가 2회로 한정해 사라졌습니다.

이 회장은 앞으로도 출산율 반등을 위해 적극 힘쓴다는 계획입니다. 가깝게 지내는 기업인들에게 출산장려금 제도 도입 필요성을 강조하면서도 국내 출산율 1.5명을 달성할 때까지 사내 출산장려금 제도를 지속적으로 시행해 타의 모범이 되겠다고 공언한 바 있습니다.

이 회장은 제19대 대한노인회 중앙회장도 역임하고 있는 만큼, 저출산뿐 아니라 고령화에 따른 문제에도 적극 대응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노인 연령을 기존 만 65세에서 만 75세로 매년 1세씩 순차적으로 상향 조정하는 것입니다.

현재 노인 인구는 1000만명이지만 2050년에는 2000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되기 때문인데요. 이때 나머지 인구 3000만명 중 20세 이하 1000만명을 제외하면 남은 2000만명이 노인 복지에 치중해 생산 인구의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이 회장은 염려하고 있습니다.

이에 그는 "정년 연장 첫해엔 정년 피크 임금의 40%를 받고, 10년 후인 75세에는 20% 정도를 받도록 해 노인의 생산 잔류 기간을 10년 연장한다면 노인 부양을 비롯한 초고령화 사회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해 관련 제언을 하게 됐다"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이 뿐만 아니죠. 요양원이 아닌 집에서 가족과 마지막을 함께하는 '재가(在家) 임종 제도'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가가 요양원에 예산을 지원하는 것처럼 간병인 예산을 만들어 노인들이 집에서 사랑하는 가족들의 손을 잡고 임종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게 그의 계획입니다.

이 역시 법제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허성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1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노인장기요양보험법 개정안'을 포함한 5개 법안을 대표 발의했습니다. 보건복지부도 이에 발맞춰 연내 재택의료기관, 간호통합센터, 장기요양기관 등과 협업해 수요자 중심의 '재가 생애말기 케어 모형'을 마련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각에서는 정부와 국회가 앞장서 해결해야 할 문제를 한 기업인이 대신하고 있다는 의견도 나옵니다.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단순한 인구 감소를 넘어 국방·경제·복지·노동시장 등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 회장의 노력은 개인과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범 사례로 평가받는 건 확실합니다. 결과가 어떻든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기업인들의 시도가 지속되길 기대해 봅니다.
전원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