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 분석, 지자체 협의 등 거쳐 연말 최종 고시
“효과성 높은 신규 사업 적극 반영…지자체 협력 필수"
|
광역교통시행계획은 '광역교통법' 제3조의2에 따라 광역교통시설의 확충과 광역교통체계의 개선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5년 단위로 수립하는 법정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오는 6일 오후 2시 부산역 KTX 회의실에서 이를 위한 '부산·울산권 광역교통시행계획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5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부산 미래부시장, 경남 행정부지사, 울산 교통국장, 한국교통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한다. 이들은 광역교통시설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할 사업에 대해 논의할 예쩡이다.
간담회는 부산·울산·경남이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2021~2025)에 반영된 사업의 진행 상황을 공유한다. 또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 건의 사업을 발표한 뒤, 한국교통연구원이 건의 사업에 대한 1차 검토 결과 및 향후 추진 일정을 설명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앞선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2021~2025)에서는 광역철도 47개, 광역도로 25개, 광역 간선급행버스체계(BRT) 12개, 환승센터 44개 등 총 146개 사업이 반영됐다. 총 투자규모(국비)는 28조원(5개년 국비 기준 7조1000억원)이다.
부산은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 반영 사업 7건 중 2건은 완료, 1건은 취소, 4건은 진행 중이라고 밝힐 예정이다.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해운대 C-허브 스테이션 등 4건의 신규 광역교통시설을 반영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울산은 6건 중 2건은 완료, 4건은 추진 중이다.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는 울산 가덕도신공항 광역급행철도를 추가 반영해 줄 것을 요구할 방침이다.
경남도는 9건 중 1건은 완료, 8건은 진행 중이라고 설명할 예정이다.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녹산-진해 광역철도 등 6건의 광역교통시설 포함을 당부할 것으로 보인다.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은 사업별 경제성 분석(B/C), 자체 신규 사업 발굴, 지자체 협의, 공청회 개최 등의 절차를 거쳐 연말에 최종 고시될 예정이다.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광역도로, 광역철도 등 광역교통시설은 두 개 이상의 시·도를 연결하는 만큼, 지자체 공동의 노력이 필수적"이라며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서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동남권순환 광역철도 사업을 신규로 반영한 것처럼, 이번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서도 효과성이 높은 신규 사업이 포함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적극적인 사업 건의와 긴밀한 협력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할 예정이다.
아울러 "광주권, 대구권, 대전권, 수도권 등 나머지 권역들도 순차적으로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덧붙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