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고령자 교통사고, 사망 줄고 부상 증가…‘무단횡단’이 원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28010015386

글자크기

닫기

설소영 기자

승인 : 2025. 02. 28. 15:24

신체 능력 저하에 따른 고령자 교통사고 위험 증가
"안전수칙 교육과 함께 새로운 시스템 도입 필요"
1365128701
기사와 관련없는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교통사고를 당한 고령자의 사망자 수는 줄었지만 부상자 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위한 보행 안전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28일 경찰청에 따르면 '연령대별 보행 사상자 현황'은 65세 이상 고령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2019년 743명, 2020년 628명, 2021년 601명, 2022년 557명, 2023년 550명으로 5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2024년은 아직 집계되지 않았다.

사망자 수는 감소한데 반해 부상자 수는 2019년 1만1653명, 2020년 9233명으로 코로나19 유행 당시 잠시 주춤하다가 2021년 9423명, 2022년 1만16명, 2023년 1만529명으로 증가세로 다시 전환했다.

고령자의 교통사고 주요 원인을 살펴보면 '무단횡단'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혔다. 지난해 한국교통안전공단 통계에서도 고령자 교통사고의 절반 이상이 보도통행, 차도통행 중 사고가 아닌 '횡단 중 사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은 고령자 무단횡단 사고 예방을 위해 △고령자 맞춤형 안전수칙 교육 및 홍보 △보행사고 상습 발생지역 집중 단속 △안전시설 확충 △취약지역 순찰 강화 등을 추진중이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이같은 조치와 함께 새로운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건수 백석대 경찰학부 교수는 "(고령자는) 신체적 능력이 떨어져 있어 3초면 횡단보도를 건널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1분~2분이 걸릴 수 있다"며 "이 때문에 횡단보도 중간에 남겨지거나 차들이 다니는 도로 위에 서 있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어 "고령자 보행 상황을 고려한 음성 안내 시스템이나 인공지능 CCTV와 신호 시스템의 연동을 통해 보행자가 횡단보도에 있을 경우 신호가 바뀌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설소영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