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정원, 韓 겨냥 나이지리아 국제마약조직 총책 검거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20010010639

글자크기

닫기

정채현 기자

승인 : 2025. 02. 20. 10:09

나아지리아 은신하며 전세계에 대규모 마약 밀수출
'로맨스스캠'으로 마약 조달
마약운반책, 한국인·무비자 입국 외국인 이용
2
나이지리아 마약법집행청(NDLEA)이 국가정보원과 공조해 K·제프 은신처에 진입해 그를 검거하는 모습. /국가정보원 제공
국가정보원 국제범죄정보센터(TCIC)는 지난 13일 나이지리아 마약법집행청(NDLEA)과 공조하여 국제마약조직 총책 K·제프(59)를 나이지리아 현지에서 검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날 국정원에 따르면, 나이지리아 국적인 K·제프는 우리나라에서 마약 유통 범죄를 주도한 혐의로 2007년 검거돼 징역 1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하다 2008년 추방됐다. 이후 최근까지 나이지리아에 은신하며 북중미·동남아 등지에서 마약을 조달,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에 대규모로 마약을 밀수출해왔다.

나이지리아에 기반을 둔 K·제프의 조직은 동남아·아프리카·북미·유럽 등지에 거점을 마련하고, 마약 유통·로맨스스캠·투자 사기로 조달한 자금을 이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세를 확장해오던 '신흥 마약조직'이다.

이들은 각국 정보·수사기관의 감시망을 교묘히 피해 왔으나 이번에 국정원에 덜미를 잡혔다.

그의 마약조직은 소셜미디어상에서 이성에게 환심을 산 뒤 돈을 가로채거나 특정 행동을 강요하는 '로맨스스캠' 방식으로 마약 운반책을 조달했다. 기존 범죄 수법을 새로운 범죄에 악용한 '하이브리드 범죄'로 볼 수 있다.

또한 그의 부하 조직원들은 국제기구 요원·정부기관 소속 직원·변호사 등을 사칭해 피해자에게 접근했으며, 한국으로 마약 운반을 시킬 목적으로 한국인과 국내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외국인들을 주요 타깃으로 삼았다.

실제로 피해자들은 조직원들의 '연인관계'·'투자빙자' 등 거짓말에 속아 해외로 유인됐다. 이후 '선물 대리 전달' 등 명목으로 백팩·수트 케이스·초콜릿 등을 다른 국가로 운반했는데, 그 안에 마약이 은닉돼 있었다.

지난해에는 한국인 50대 여성이 이 조직의 금융사기 수법에 속아 브라질로 출국, 코카인이 숨겨진 제모용 왁스를 받아 한국을 경유하여 캄보디아로 향하던 중 적발된 바 있다. 현재까지 국정원이 확인한 운반책 피해자만 10여명에 달한다.

이번 총책 검거 배경에는 국정원의 5년에 걸친 집요한 물밑 추적이 있었다. 국정원은 국내외 정보망을 통해 2020년부터 이들 조직을 추적, 검찰·경찰·관세청 등 수사기관과 함께 대대적인 적발을 진행해 왔다.

국정원은 현재까지 총 7차례에 걸쳐 메스암페타민 28.4kg·대마 17.2kg 등 총 45.6kg의 마약(시가 972억원 상당)을 압수하고 총책 포함 조직원 37명을 검거했다.

이번 총책 검거 때는 K·제프의 새로운 범행 정황과 은신처 등 핵심 정보를 나이지리아 마약법집행청에 지원했다. 국제범죄 담당 요원을 현지에 급파, 나이지리아 당국 무장요원들과 함께 마약조직의 본거지를 급습해 총책 체포에 성공했다.

국정원은 "이번 검거는 국제 마약범죄 카르텔의 실체를 확인하고 해당 네트워크를 와해시켰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국정원은 앞으로도 해외 협력을 강화, 마약으로부터 우리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최근 미국 정부의 마약단속 강화로 판로가 막힌 북미 마약조직이 우리나라 등 아·태 지역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며 △마약 범죄 관련 정보 습득시 국정원(국번없이 111) 등 수사기관에 신고 △온라인에서 만난 사람의 요구에 의한 해외출국 자제 △해외에서 물품 운반 요청 거절 등을 당부했다.


정채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