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韓 최초 달탐사선’ 다누리 임무기간 2027년까지 추가연장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0210010004987

글자크기

닫기

이하은 기자

승인 : 2025. 02. 10. 17:00

우주청, 사업추진위서 추가연장 결정
2027년 말까지 운영 뒤 2028년 달에 충돌
다누리 탑재한 팔콘-9 발사체 '발사 대기중'<YONHAP NO-1525>
다누리를 탑재한 미국 스페이스X의 팔콘-9 발사체가 지난 2022년 8월 5일 오전(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미우주군기지 40번 발사장에서 기립을 완료한 상태로 발사 대기 중이다./사진=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네버럴. 공동취재기자단
우리나라 최초 달 탐사선인 다누리의 임무기간이 2년 추가 연장됐다. 이에 따라 다누리는 2027년까지 탐사 임무를 수행하게 됐다.

우주항공청은 10일 오후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달탐사 관련 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다누리의 임무기간을 2년 추가 연장해 2027년까지 탐사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앞서 다누리는 지난 2022년 8월 발사돼 당초 계획된 1년 간의 달 궤도상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후 2025년 12월까지 임무를 한 차례 연장한 바 있다. 우주청은 이번 회의에서 항우연 및 다누리 탑재체 운영기관과 참여 과학자 의견 수렴, 탐사선 잔여 연료량과 상태 등의 분석을 통해 임무기간을 추가 연장하기로 했다.

우주청은 임무 연장 기간 동안 과학적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누리 임무 고도를 60km로 낮춰 7개월 간 운영한 뒤, 별도의 궤도 조정 없이 장기간 궤도 운영이 가능한 달 동결궤도로 진입시켜 2027년 말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이후 달 착륙과 유사한 고도까지 낮추어 달 착륙에 필요한 기술을 시험한 뒤 2028년 3월 달에 충돌하도록 할 계획이다.

우주청은 달 고도 60km 저궤도 운영을 통해 달 표면에 근접한 관측이 가능하여 더욱 세밀한 과학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후 이어지는 동결궤도 운영을 통해서는 장기간의 과학 데이터 획득과 달 극지역 영구음영지역 내부의 시간에 따른 변화 등을 관측할 계획이다.

한편 다누리에 섀도우캠을 탑재하고 다누리 추적 및 통신을 지원하고 있는 미 항공우주국(NASA)와의 협력기간 또한 다누리 협력 이행약정서 개정을 통하여 2028년 12월까지로 연장한 바 있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다누리의 추가 임무연장과 운영 궤도 변경을 통하여 각 임무 탑재체별 성과를 극대화하고, 미국의 아르테미스 계획과 2032년 발사를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 달착륙선 계획에 도움이 되도록 다누리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하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