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박근혜 대통령, 군 대장 인사 시기·대상 ‘관전 포인트’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150908010004727

글자크기

닫기

김종원 기자

승인 : 2015. 09. 08. 06:54

대북 억제력, '가까워진' 한중관계 고려, '확고한 한·미 군사혈맹 다질 수 있는 '전문성 있는 군인들 전진배치 절실'...다음달 16일 한·미정상회담 '군사 혈맹' 신뢰 절박...8일·15일·22일 중 '22일' 관측도
우리 군의 정기 대장 인사 시기와 대상을 둘러싸고 군 안팎에서 초미의 관심 사항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첫 여성 국군최고통수권자인 박근혜 대통령의 최근 ‘결단력 있는’ 외교안보 행보와 맞물려 인사 시기와 대상,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8·25 남북 간 합의의 모멘텀을 살려 박 대통령이 중국 전승절 외교를 통해 남북과 한·중 관계에 있어서는 어느 정도 관리할 수 있는 ‘모드’로 접어들고 있다. 다만 한국과 중국 관계가 가까워질수록 한·미 ‘혈맹’을 보다 확고히 하고 믿고 신뢰할 수 있는 최일선의 한·미 군사동맹이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고 굳건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더욱이 다음달 16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있어 한·미 혈맹의 깊이와 폭을 보다 한 차원 업그레이드 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사실 지난 8·25 남북 간 군사적 일촉즉발의 전쟁 위기 상황까지 갔을 때을 비롯해 한반도 평화와 안정, 번영의 핵심 축은 최일선 한·미 군사동맹에서부터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한반도에 파병돼 있는 주한미군 지휘관과 일선 장병들은 지금 이 순간에도 언제든지 전쟁이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상 ‘전시상태’와 ‘교전지역’ 차원에서 항상 초긴장된 군사대비태세를 견지하고 있다. 지난 8·25 남북 합의 전후에 중국의 역할이 컸다고 하지만 결국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의 핵심 기반 축은 최강의 한·미 연합 군사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군 인사에서 커티스 스캐퍼로티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미 육군 대장), 버나드 샴포우 미8군사령관(미 육군 중장), 테런스 오샤너시 미 7공군사령관(미 공군 중장), 시어도어 마틴 미2사단장(미 육군 소장), 토마스 반달 한미연합사 작전부장(미 육군 소장) 등 한·미 군사동맹 최일선의 미군들과 ‘한몸’이 될 수 있는 정말로 오랫동안 신뢰관계를 갖고 있으며 전문성과 믿음을 줄 수 있는 군인들이 전진배치돼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일선 주한미군 지휘관들의 ‘속살’과 ‘체온’까지도 감지할 수 있고 ‘눈빛만 봐도 하나’가 될 수 있는 한·미 연합 전력의 전문성과 경험, 탁월한 소통 능력을 갖춘 군인들을 전진 배치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일단 미군과 주한미군, 주한 미 대사관 소식통에 따르면 마크 리퍼트 주한 미 대사 기습 사건과 함께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 집권 이후 북한의 군사 도발과 위협이 가시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군과 주한미군 지휘관들은 박 대통령의 결단력과 리더십에 ‘대단한 감명’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북한의 도발과 군사 대응 과정에서도 박 대통령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스캐퍼로티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과 가장 많은 대화를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관계 소식통들에 따르면 한국을 방문하는 미국의 주요 외교안보 고위 관계자나 미군 지휘관들은 박 대통령의 지도자로서 진면목과 결단력, 리더십, 비전에 대해 대단한 감명과 함께 극찬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무엇보다 여성이면서도 지도자로서 강인한 자질과 함께 진정성 있는 모습이 미군들에게 굉장히 좋은 이미지를 심어 줬고 찬사를 받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연합방위태세 보고받는 한-미 정상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해 4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함께 한·미 군사 혈맹의 최일선인 서울 용산 미군 기지 안에 있는 한미연합사령부를 직접 찾아 커티스 스캐퍼로티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으로부터 한·미 연합방위태세에 대한 현황을 보고 받고 있다. 한·미 정상이 한미연합사령부를 함께 방문한 것은 1978년 연합사 창설 이래 처음이었다. / 사진=청와대 제공
최근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와 리퍼트 대사 피습 사건까지 악재가 겹쳐 한·미 관계와 한·미 군사동맹이 자칫하면 삐그덕 거릴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에서 박 대통령의 확고한 동맹의지에 미군과 미국 관계자들이 오히려 한국을 더 신뢰하게 만드는 계기가 됐다는 전언이다. 이에 따라 이번 대장 인사와 다음달 후속 군 장성 인사 때는 한·미동맹의 최일선이라고 할 수 있는 ‘군사 혈맹’을 보다 단단히 하고 다질 수 있는 군 인사들을 한·미 군사동맹의 최일선에 포진시켜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일단 대장급 인사 시기는 다소 늦춰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민구 국방부장관이 오는 10~15일 일정으로 호주 시드니에서 열리는 제2차 한·호주 외교·국방(2+2) 장관회의에 참석하고 필리핀을 방문하는 해외 출장이 잡혀 있어 22일께 날 가능성도 큰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과 청와대도 최근 남북 간 위기 상황 관리와 중국 전승절 방중 외교로 긴박하면서 바쁘게 돌아가고 있어 군 인사까지 들여다 볼 물리적 시간이 촉박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장급 인사는 한 장관과 청와대가 긴밀히 협의하고 검증을 해야 하는데 현재 청와대와 한 장관의 일정이 워낙 빡빡하게 돌아가고 있어 다소 늦춰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한 장관이 해외 출장에서 돌아와 15일 당일 인사를 하기에도 시간이 너무 촉박하다는 관측도 있다.

국방부는 이미 지난주 대장 인사에 대한 제청을 청와대에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달 임기가 만료되는 최윤희 합참의장을 비롯해 주요 대장 인사가 교체 대상이기 때문에 국무회의 심의 의결 절차를 거쳐야 하는 8일과 15일, 22일 중에 하루가 유력한 상태다.

대장급 인사는 국방부 장관이 추천하고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며 중장 이하 장성은 각 군 참모총장이 추천해 국방부 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 구조다.

또 합참의장은 국회 인사 청문회를 거쳐야 하는데 국정감사 기간이 오는 10~23일 1차에 이어 다음달 1일~8일 2차까지 예정돼 있다. 다만 과거 사례를 보면 군 수뇌부와 고위 장성급 인사가 늦어질수록 온갖 ‘잡음’과 ‘뒷말’이 많이 나온다는 부작용이 있다.

이번 대장 인사에서는 최 의장과 함께 김요환 육군참모총장, 최차규 공군참모총장, 박선우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일선 육군야전군사령관 교체가 확실시 되고 있다. 2013년 10월 취임한 최 의장은 임기를 다해 이번에 물러나게 된다.

최 의장은 해군참모총장으로 합참의장까지 오른 첫 케이스다. 이번 인사에서는 합참의장이 다시 육군에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군의 중론이다. 이에 따라 차기 합참의장 물망에 오르는 인사는 박선우(육사 35기) 한미연합사 부사령관, 이순진(3사 14기) 육군2작전사령관, 김현집(육사 36기) 육군3야전군사령관 등이다.

김요환(육사 34기) 육군참모총장이 이번 인사에서 전임 총장의 임기를 채우고 물러나면 육군총장도 바뀔 것으로 보인다. 차기 육군참모총장으로는 김현집 사령관, 장준규(육사 36기) 제1야전군사령관, 김종배(육사 36기) 교육사령관 등이 거론된다.

정호섭(해사 34기) 해군참모총장은 올해 2월 취임해 교체 대상이 아니다. 지난해 4월 취임한 최차규(공사 28기) 공군참모총장은 물러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 군 안팎의 예상이다. 공군참모총장이 바뀔 경우 후임 총장으로는 김정식(공사 29기) 공군작전사령관과 박재복(공사 29기) 공군사관학교장이 하마평에 오른다.

특히 이번 인사에서는 박 대통령의 동생 박지만 EG 회장의 동기생인 육사 37기가 대장으로 진급한다. 현재 육사 37기 중장으로 대장 진급 물망에 오르는 인사는 신원식 합참차장, 전인범 1군부사령관, 이재수 3군부사령관, 박찬주 육군참모차장, 양종수 육군사관학교장, 엄기학 합참 작전본부장 등이다.

다만 박 대통령의 그동안 인사 스타일로 봤을 때는 개인적인 친소관계보다는 그 무엇보다 군의 적재적소에서 우리 군의 전투력과 한·미 연합 전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탁월한 전문성과 실제 능력, 경험, 경력 등을 철저히 보고 능력 위주의 인사를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김종원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