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APEC 경주]李 “젠슨황이 韓에 투자 시작”…삼성·SK·현대와 ‘AI 의기투합’(종합)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3.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31010014029

글자크기

닫기

경주 홍선미 기자

승인 : 2025. 10. 31. 16:03

젠슨 황 만난 이재명 대통령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접견에 앞서 국내 기업 대표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젠슨 황, 이재명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연합뉴스
"젠슨 황이 대한민국에 인공지능(AI) 관련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정말 큰 거 아닙니까?"

글로벌 AI 선도 기업 엔비디아가 우리 정부, 삼성전자 등 기업들과 협력해 한국의 'AI 3대 강국' 도약을 지원한다.

엔비디아는 최신 그래픽 처리장치(GPU) 26만장 이상을 우리 정부와 기업들에 공급하는 등 AI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충해 공공 및 민간의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한다.

현대차, 네이버는 '피지컬 AI'(AI 제조, 로봇, 자율주행차 등 실제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현실 세계에서 인식·행동하는 AI) 등 핵심 AI 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엔비디아와 협력한다. 특히 현대차는 엔비디아와 총 30억 달러(약 4조원) 투자 공동 투자해 AI 자율차, AI 자율제조 등 피지컬 AI 기술개발과 특화 인재 양성 추진을 통해 피지컬 AI 시장을 선도해 나간다는 목표다. 현대차, 엔비디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피지컬 AI 역량 고도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이날 체결했다.

SK와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GPU를 이용해 반도체 생산 공정 개선을 위한 디지털 트윈 구축 등 피지컬 AI에 적극 투자한다. HBM(고대역폭메모리) 공급 확대 등 우리 기업과 엔비디아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이날 논의됐다.

AI 기술 공동연구를 위해 엔비디아와 국내 산·학·연 간 기술 협력을 추진하고, 엔비디아와 중소벤처기업부와 협력해 추진 중인 '엔업(N-UP)' 프로그램 등 스타트업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방한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인공지능) 수도'로 거듭나는 것이 대한민국의 목표"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과 황 CEO의 접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 등도 참석해, 정부와 기업의 엔디비아 협력 방안을 확정하고 한국을 'AI 3대 강국'으로 만들기 위해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이 대통령이 황 CEO를 만난 것은 지난 8월 한미 정상회담 계기로 워싱턴DC에서 열린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행사 이후 두 달여 만이다.

이 대통령은 황 CEO 보자마자 박수로 환영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 황 CEO와 이재용·정의선 회장의 치멱 회동을 언급하며 "엔비디아의 대한민국 흑자가 확대하고, 대성공을 거둬서 대한민국 국민 모두가 골든벨 받는 상황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황 CEO가 전날 서울 삼성동 치킨집에서 손님 모두에게 치킨을 사준 '골든벨'을 언급한 것이다.

황 CEO는 이 회장과 정회장을 가리키며 "저기 제 치맥형제들이 있다"고 크게 웃었다.

이 대통령은 "옛날에 용산 전자상가에 가시는 마음으로 대한민국의 전역을 다녀주시길 바란다. 우리 국민들 엔비디아 투자를 정말 큰 관심 가지고 있고 정부 입장에서도 전폭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대한민국 정부는 앞으로 인공지능 기술이 거의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전세계 인류 미래 결정적으로 바꿀거라 생각해서 대대적인 투자지원을 할 것"이라며 "전세계에서 인공지능 관련 사업 가장 시작하기 좋은 나라 성과 나는 나라로 저도 노력할거고 국민도 노력할 것"이라고 거듭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 젠슨 황 접견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를 접견하고 있다.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젠슨 황, 이 대통령,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김용범 정책실장. /연합뉴스
황 CEO는 이 대통령의 취임, 경주 APEC 개최를 축하하며 모두발언을 시작했다.

황 CEO는 "한국은 e스포츠의 산지"라며 "(엔비디아는) 항상 한국과 함께 성장해왔다 생각한다. 현재 엔비디아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기술 근원지라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 한국이 AI 발전을 위한 역량을 이미 충분히 갖췄다고 평가하며 "세계에서 이렇게 훌륭한 산업역량을 지닌 나라는 한국 말고 어디에도 없다"며 "대통령께서 보여주신 지원, 열정, 힘을 실어주신 덕분에 한국이 전 세계 AI 중심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협업할 것이고 한국 AI 발전을 위해 계속해서 함께 협력할 것"이라며 "모든 산업 차, 제조업, 반도체 공정, 소비자 가전제까지 많은 발표를 앞으로 할 것이며 앞으로 한국이 AI여정에 있어서 함께 하게 될텐데 기쁘고 기대가 된다"고 말했다.

김용범 정책실장은 이날 경주 프레스센터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과 황 CEO의 면담 내용을 전하며 "지난 6월 아마존웹서비스와 함께한 울산 AI 데이터센터 구축 착수를 기점으로 9월에는 블랙록, 10월에는 오픈AI 그리고 오늘 열린 엔비디아와의 협력까지 세계 유수의 기업들이 대한민국 AI 잠재력에 주목하고 콜을 보내고 있다"며 "앞으로도 정부는 직접 발로 뛰는 실용 외교와 아낌 없는 정책 지원을 통해 우리나라가 글로벌 AI 상담과 아태 지역의 AI 수도로 명실공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한민국 AI 고속도로의 중추적 역할을 하며 새로운 AI 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한국이 글로벌 AI 생태계의 중심이 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자리에 함께한 이재용 회장은 "삼성은 엔비디아와 함께 생성형 AI는 물론 디지털 트윈, 옴니버스, 반도체 AI 팩토리, 기술신약개발, 슈퍼 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로 협력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이 자리 계기로 대한민국이 대통령님께서 강조하신 글로벌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강국이 되길 저자신도 노력하고 삼성도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최태원 회장은 "스타트업 얼라이언스를 할 수 있도록, 제조 AI에 훨씬 더 스타트업 많이 기여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 주셔서, 단순히 큰 기업들 제조업을 리딩하는 것 뿐 아니라 AI 골자로 된 스타트업이 같이 리딩할 수 있게끔 지원해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다"고 건의했다.

이 때 이 대통령은 김용범 실장에게 "잊어버리면 안된다"라고 말했고, 김 실장은 "네, 적고 있다"고 말했다.

정의선 회장은 "한국 정부와 현대차가 공동으로 조성할 클러스터, 중소기업, 스타트업 학계 등을 지원하고 고급 인력을 양성해서 피지컬 AI 활성화 기여하겠다"고 약속했다

이해진 네이버 의장은 이 대통령의 '소버린 AI' 지원에 감사하며 "엔비디아와 협력해서 태국, 중동쪽 세로 만드는 AI 무대를 협력해서 해나가고자 하고있다. 앞으로 이런 협력 강화해서 모든 나라가 소버린 AI 가질수있는 그런 다양성 지키는 시장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홍선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