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장관은 2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종합감사에서 김태호 국민의힘 의원의 관련 질의에 "현재로서는 모든 것이 불확실한 상황"이라면서도 김 부부장의 발표를 전망했다.
정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할 수 있는 조치는 거의 다 했다"면서 "이제 김정은 총비서의 결심이 남아 있는데, 아마 몇 가지 전략적 고려 요소가 있을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북한은 2019년 2월 하노이에서의 북미 정상회담 결렬의 트라우마를 딛고 몇 가지 전략적 지점을 고민하고 있으며, 이번에 판문점 회동이 이루어지려면 오늘과 내일 사이에는 북측의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들어 다섯 차례나 북한의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 및 핵보유를 언급했다며 "북미 회동으로 가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북미 정상 회동에 대비해 비핵화와 제재 완화 등 한미 간 의제 조율이 이뤄졌느냐'는 물음에는 "북미 정상 회동을 상정해서 한미 간 논의된 것은 없는 것으로 안다"며 "중요한 것은 터닝포인트, 즉 전환점을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정 장관이 지난 14일 국정감사에서 제시한 '평화적 두 국가론'에 대해선 정부안이 아닌 통일부 입장으로 확정될 것이라고 이 자리에서 정정했다.
정 장관은 '평화적 두 국가론이 정부안인지 입장을 밝혀달라'는 김준형 조국혁신당 의원의 질의에 "통일 지향의 평화적 두 국가론을 통일부가 확정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 내에서 남북은 '국가 관계가 아닌 통일을 지향하는 특수관계'라는 이견이 나오자 통일부 입장으로 한정지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정 장관은 "통일부가 국제학술회의 등을 통해 이 문제를 계속 다루고 있다"면서 "'평화적 두 국가론'이 "통일부의 안으로 확정될 것이라고 말씀을 드렸고 정부 내에서도 논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